개고기 찬반론
- 최초 등록일
- 2002.12.13
- 최종 저작일
- 2002.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서론
Ⅱ.개고기 문화 지탄과 언론의 왜곡 보도
1. 개고기 문화의 지탄 이유
2. 세계 언론의 왜곡 보도 사례
Ⅲ. 개고기는 문화이다
1. 역사로 본 개고기 문화
2. 서양에서의 개고기
Ⅳ. 결론
본문내용
음식"이란, 인간이 섭취하여 영양소로 변화하여 인간 생활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세계 각국, 각기 다른 민족들을 자신들만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한 국가, 한 민족의 고유한 음식문화를 결정짓는 것은, 기후, 토양, 그 민족만의 기호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다. 이러한 음식문화에 대해 획일적이고, 자국, 자민족 우월주의나, 문화적 오만으로 대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스럽고 교만한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세계 각 국의 음식문화들을 살펴보면 우리 민족의 문화 관습으로써는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것들이 매우 많다.음식을 음식으로 보지않고 전통문화나 독창성을 신사대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음에랴 무어라 할말이 없는 것이다. 모두가 인정하듯 오래전부터 개는 사육되어 왔고, 각기 다른 용도를 가지고 인간의 목적에 맞도록 길들여져 온 가축이라는 사실이다.
가축은 위생적인 환경에서 합법적으로 도축하고, 그 고기를 맛있게 조리하여 먹을 권리가 개고기를 먹는 모든 사람들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 저러한 이유로, 우리는 우리의 음식(통계조사를 보면 성인남자의 절반이상이 -물론 많은 여자들도 포함된다 -개고기를 먹는다고 하니 우리의 음식 이래도 무방할 것이다)을 남의 눈치나 보면서 정력제나 먹듯 홀짝거리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도축하여 먹는 개가 애완견은 더더욱 아닐진데, 떳떳하게 먹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제 우리는 음식문화(비단 개고기 뿐만이 아니라)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우리의 권리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피력할 때이다.
많은 반대론을 가지 이들이, 월드컵에 맞춘 외국인의 눈치 보기를 운운하지만 그들은 손님으로써 우리를 방문하는 것이다. 어느 나라가 국제적 행사를 하는데 불필요 하다고 자국의 전통문화를 미개한 것이라 하여 숨기고 감추던가. 여행을 하면 애써 그 지역의 특산물과 독창적인 문화를 먼저 찾아보는 것이 바른 여행방법이다.
이제 우리를 찾아올 손님들을 위해, 위생적이고, 합법화된 우리의 개고기 음식문화를 소개하기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