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의 경쟁력분석, 중국IT산업의 경쟁력분석, 정보통신산업의 경쟁력분석, 영화산업의 경쟁력분석, 합섬직물산업의 경쟁력분석, 니트산업의 경쟁력분석, 제조업의 경쟁력분석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3.03.29
- 최종 저작일
- 2013.03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목차
Ⅰ. 한국산업의 경쟁력분석
Ⅱ. 중국IT산업의 경쟁력분석
Ⅲ. 정보통신산업의 경쟁력분석
Ⅳ. 영화산업의 경쟁력분석
1. 영화와 테크놀로지의 결합
2. 다양성과 스타가 영화를 이끈다
Ⅴ. 합섬직물산업의 경쟁력분석
Ⅵ. 니트산업의 경쟁력분석
Ⅶ. 제조업의 경쟁력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한국산업의 경쟁력분석
포오터 모형으로 개도국의 경쟁력을 살펴보았을 때 개도국의 경우에는 발전단계에 따라서 수출이나 직접투자로 나타나는 경쟁력과 포오터 다이아몬드 모형과의 상관관계는 그리 높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첫째, 발전 초기에 정부의 역할이 경쟁력을 주도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둘째,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에서 고도의 산업구조 전환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셋째, 개도국의 보호되어진 산업에서 포오터 다이아몬드가 경쟁력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 등이다. 포오터 모형을 개도국에 잘 적용할 수 있게끔 경쟁력 향상단계를 형성기, 성장기, 조정기, 성숙기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이렇게 모형을 수정함으로써 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어떻게 형성되며(형성기), 형성된 후 어떻게 성장하며(성장기), 어떻게 조정되며(조정기), 또한 어떻게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가(성숙기)를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어느 국가도 모든 산업에서 경쟁력을 얻지는 못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전후에 비교적 빠르게 성장하고, 한국의 경쟁력 있는 산업을 포괄하고 있는 일본과 이태리의 산업을 준거로 삼고 이를 토대로 개도국인 한국의 산업을 일본형 산업과 이태리형 산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들 국가의 산업을 비교ㆍ검토함으로써 형성기, 성장기, 조정기에 있어 선진국과 개도국 산업의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도국으로서는 도달하기 어려운 성숙기의 경쟁력의 이해가 가능하게 된다. 한국의 각 산업을 가장 경쟁력 있는 국가의 산업과 비교해봄으로써 그들 국가의 산업과 발전단계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발전과정에 있어 한국산업의 진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의 각 산업은 개방화 시대에서 이들 가장 경쟁력 있는 산업과 경쟁하게 되기 때문에 경쟁력의 비교연구를 통해 개방후 한국산업의 경쟁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참고 자료
곽선신, 중국의 IT산업 현황과 통신장비기업의 경쟁력 분석 : 경영전략 중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2005
유현석, 한국 영화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 제작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0
지식경제팀, 한국의 산업경쟁력 종합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3
지식경제부, 니트의류산업 경쟁력 조사, 2010
전희경,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경쟁력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1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외 1명, 합섬직물산업 경쟁력조사, 무역위원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