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체제론에 대하여(정치학)
- 최초 등록일
- 2013.01.02
- 최종 저작일
- 2012.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600원 
소개글
세계체제론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리포트를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1. 세계체제론의 개념
2. 세게체제론의 역사적 배경
3. 현재의 세계체제가 가지는 특성
4. 세계체제이론 등장배경
1) 농경사회 이전 - 소규모 체제.
2) 서기 1500년기 까지 - 세계제국들.
3) 1500년경 - 자본주의 세계경제들.
4) 19C 말 - 단일한 자본주의 세계체제 형성
5.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특징.
1) 전반적인 특징
2) 반주변부의 특징
6. 세계체제의 순환
1) 자본주의 세계체제는 네 단계의 순환적인 과정을 겪으면서 팽창과 수축을 계속
2) 차이점
7. 세계체제론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세계체제론의 개념
세계체제란 ‘여러 주체로 구성되는 사회 시스템 중 그 범위가 최대인 것’을 말한다. 사회 시스템에는 가령 가족이나 기업처럼 개인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고 국가와 같이 개인이나 관청, 기업 등의 조직들을 품는 것도 있어 그 종류는 여러 가지이다. 즉, 세계체제란 그러한 사회 시스템(개인, 기업, 국가, 국제조직) 전부를 포함하는 사회 시스템을 말한다.
이 같은 의미로서의 ‘세계체제가 반드시 지구 전부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사실에 주의해야 한다. 지구상에는 몇 개의 세계체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실제로 아주 최근(19세기나 20세기) 까지 지구상에는 몇 개의 세계체제가 존재했다. 지구상의 다른 부분과 교섭이 거의 없던 사회 시스템은 그 자체가 세계체제였다고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와 중국, 그리고 쇄국시대의 일본은 그 자체가 하나의 세계체제였다고 보더라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세계체제와 국제체제는 무엇이 다른가?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 두 가지를 같은 의미로 쓰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국제체제란 복수의 국가를 구성요소로 하는 사회체제 중 가장 넓은 범위를 가진 것이라고 정의해두자. 세계체제의 구성요소는 국가로 한정되지 않는다. 국가 이외에도 기업이나 상인. 교회, 국제조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세계체제론의 역사적 배경
세계체제론이란 간단히 말해 이 세계를 ‘자본주의’ 세계체제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본주의 경제체제란 단순히 시장이나 교환, 생산 등의 개념이 아닌 경제의 최상층으로서의 ‘자본주의’ 그 자체의 발생을 말한다. 즉 일차적인 소비, 생산, 교환이 아닌 증권, 채권, 금융, 선물시장 등을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필수 구성요소로 보는 것이다. 이것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 바로 네덜란드, 더 정확히는 당시의 암스테르담이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지역별, 국가별 계서제(계급과 서열을 동시에 의미)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즉 세계체제의 중심부는 위에서 말한 금융을 통한 지배를 담당하고 주변부의 생산 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윤을 가로채게 된다. 자본은 중심부에 축적되고 그 자본이 다시 주변부에 중심부의 명의로 투자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격차는 벌어진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