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그 영향
- 최초 등록일
- 2012.12.21
- 최종 저작일
- 2012.05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 론
Ⅱ 임진왜란의 배경과 원인
1. 임진왜란의 발생원인
2. 조선과 일본의 군사정세
Ⅲ 임진왜란의 발발
1.일본의 침입과 관군의 붕괴
2.조선의 대응
3.충주패보와 선조의 피난
Ⅳ 임진왜란의 경과
1. 조선 수군의 제해권 장악
2. 명군의 참전과 반격
3. 강화회담의 결렬과 일본의 재침략
4. 조명연합군의 반격과 종전
Ⅴ 임진왜란의 영향
1. 조선
2. 일본
3. 명나라
Ⅵ 결 론
본문내용
1592년(선조25)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조선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이다. 1차 침입이 임진년에 일어났으므로 임진왜란이라 부르며, 2차 침입은 정유년에 일어나 정유재란이라 일컫는데 일반적으로 임진왜란은 정유재란까지 포함해서 말한다. 이 임진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 게이초의 에끼>이라 부르고, 중국에서는 <만력의 역>이라 부른다. 조선 조정에서는 남해안 지방에 왜구들이 자주 침략하자 군국기무(軍國機務)를 장악하는 비변사(備邊司)라는 합좌기관(合坐機關)을 설치하여 이에 대비하였으나, 선조 때에 지배계급은 당파를 중심으로 분열하여 서로 반목질시하게 되었다.
<중 략>
함경도를 침입한 가토의 군은 본도 관찰사 유영립(柳永立)을 포박하였고, 병사 이혼(李渾)은 반민(叛民)에게 피살되었다. 본도에 들어온 임해군ㆍ순화군과 이들을 호위했던 대신들도 반민에게 포박되어 적진에 넘겨지는 등, 도 전체가 적중에 들어갔다. 황해도를 침입한 구로다의 군은 해주를 본거지로 삼고 대부분의 고을을 침범하여 분탕질을 자행했다. 결국 일본이 침입한 지 한 달여 만에 호남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적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고, 의주에 머물던 선조도 큰 위협을 받고 있었다.
<중 략>
우리는 이러한 쓰라린 역사 속에서도 민족의 숭고한 자주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모함을 당하면서도 오직 일편단심 구국의 길을 걸었던 이순신 장군과 충의를 내걸고 나선 의병장들과 많은 국민들을 통해 한민족의 저력을 발견할 수 있다. 누구의 강요도 없이 오직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 거룩한 순국정신과 의병정신이야말로 우리민족이 숱한 외침을 어떻게 극복해왔는가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값진 증표인 것이다.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 같은 금언처럼 우리는 오랜 민족 수난의 역사가 주는 교훈을 명심하여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일에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김강녕, (2008),『임진왜란의 전황과 교훈에 관한 연구』, 광주: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이성무, (2008),『류성룡과 임진왜란』, 파주 :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