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 행동주의 심리학과 도덕 발달
- 최초 등록일
- 2002.12.05
- 최종 저작일
- 2002.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좋은 자료입니다. 열심히하세요
목차
1.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2.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3. 사회 학습 이론
본문내용
행동주의 심리학에서의 인간의 발달은 모두 학습이라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행동주의 심리학을 일컬어 학습 심리학(learning psycholog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학습 심리학은 우리가 백지 상태(tabula rasa)로 세상에 태어난다고 보았던 로크(Locke)의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우리가 외부 세계와 상호작용하기 전에는 판 위에 아무 것도 씌어진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이 판 위에 씌어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유전, 기질 혹은 선택이 아니라 바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그 자체이다. 우리가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경험인 셈이다. 행동주의 심리학 혹은 학습 심리학이 던져 주는 메시지는 아주 간결하다: '경험을 통제하라! 그러면 우리가 도덕적인 혹은 비도덕적인 사람이 되는 것을 통제할 수 있다.' 이 이론에 의하면, 다른 행동들과 마찬가지로 도덕적 행동 역시 학습된 반응이다. 도덕적 행동은 우리가 좋은 환경 속에 있을 때에 학습된다(Clouse, 1993). 여기서 좋은 환경이란 도덕적 행동에 대한 적절한 모델들이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이 강화를 받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처벌을 받는 그런 환경을 의미한다. 도덕 발달에 대한 학습 심리학적 관점은 매우 간단하게 요약될 수 있다. 아동은 훈련·모범 사례·보상·처벌에 의하여 도덕적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권준모 (1998), 심리학과 교육, 서울: 학지사.
김동일·아동원 공역 (1984), 사회심리학의 대가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상호·김기정 공역 (1985), 인간주의 교육과 행동주의 교육, 서울: 문음사.
김영채 역 (1981), 행동주의, 서울: 교육과학사.
김정규 역 (1991), 인간 행동의 심리, 서울: 성원사.
손정락 역 (1994), 성격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