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논문목차
없음본문내용
제1절 연구의 목적오늘날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이유는 크게 사회적 책임과 전략적 접근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자 하는 측면과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이미지 제고 향상의 전략적인 접근으로 기업과 사회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사회적 투자의 접근방법으로 발전되고 있다.1)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결코 단기간에 성과를 보거나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니다.2) 진정으로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가 분명하다면 이점을 염두에 두어 10∼20년 이상을 바라보는 선택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2004)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2년 말 기업규모별 사회공헌 활동 집행액은 매출 1조원 이상의 62개 기업들이 6,644억 4,400만원으로 90.1%를 차지하고 있음을 볼 때 국내의 사회공헌 활동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실태분석과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중 략>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희망의 조짐은 보이고 있다. 삼성과 CJ가 대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전담하는 부서를 만든 데 이어 기부를 마케팅과 연계해 생각하는 기업들이 서서히 늘고 있다. 국내기업의 이 같은 인식변화에는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의 적극적인 ??기부마케팅??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외국계 기업들은 기부금의 절대액수는 크지 않지만 꾸준하고도 치밀한 전략에 따라 기부를 마케팅과 연계하고 있다.50)
이제는 단순히 베풀고 돈만 쓰는 것이 사회공헌활동은 아니다. 즉 이제는 사회공헌이 매우 중요한 기업 전략의 일환으로 자리 매김 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역사가 짧고 경영자의 의식부족 등으로 인해 그 한계점이 명확하고 소극적이고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탈피를 위한 수단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아쉬운 점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진정 사회에 공헌하겠다는 기업의 태도변화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부분이 충족될 때만이 우리사회도 더욱 풍요로워질 것이다.
참고 자료
1. 국내문헌강원, 「한국의 기업경영 20년」, 삼성경제연구소, 2008
기획이노베이터그룹, 「세상에 없는 마케팅을 하라」, 토네이도, 2008
김광영, 「사원에서 CEO까지 디테일에 집중하라」, 토네이도, 2008
김민주, 「경영의 최전선을 가다」, 리더스북, 2005
김민주,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거름, 2006
김성호, 「사회공헌은 아름다운 동행」, 삼영사, 2007
김종립, 「미래는 존경받는 기업을 원한다」, 한국능률협회, 2005
넥스터스, 「아름다운 거짓말」, 북노마드, 2008
박상언, 「통통 튀는 한국형 부동산 마케팅」, 무한, 2004
박선규, 「미국 왜 강한가」, 미다스북스, 2003
복준영,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마케팅 이야기」, 원앤원북스, 2007
부자연구학회, 「생각이 부를 결정한다」, 무한, 2008
삼성경제연구소, 「불황기 경영전략」, 삼성경제연구소, 2009
삼성사회공헌팀, 「2007 삼성 사회공헌활동 백서」, 삼성, 2008
삼성사회공헌팀, 「2005 삼성 사회공헌활동 백서」, 삼성, 2006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전신, 2003
신한은행, 「신한은행 사회공헌 발자취 2004」, 신한은행, 2005
연세대학교 창조경영센터, 「대한민국 핵심 산업의 창조경영전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이미숙, 「존경받는 부자들」, 김영사, 2004
이서구, 「마케팅 키워드 55」, 위즈덤하우스, 2008
이성록, 「새로운 공동체 영역 @제4섹터」, 다빈치하우스, 2005
이호철, 「우리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 국학자료원, 2001
정승호, 「한국 CEO의 경영 연금술」, 평단문화사, 2005
조대엽 외, 「21세기 한국의 기업과 시민사회」, 굿인포메이션, 2007
주인기, 「글로벌 시대의 기업경쟁 전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최장집, 「여럿이 함께」, 프레시안북, 2007
킴 클라인(저), 이정화(역), 「모금이 세상을 바꾼다」, 아르케, 2009
포스코, 「사랑의 손길, 희망의 나눔 2003∼2006」, 포스코, 2007
현대경제연구원, 「대한민국 경제지도」, 원앤원북스, 2009
홍순영 외, 「SERI 전망 2005」, 삼성경제연구소, 2004
Batstone(저), 신철호(역), 「영혼이 있는 기업」, 거름, 2003
Joel(저), 오관기(역), 「미래와의 대화」, 양문, 1999
Joseph E(저), 홍민영(역),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 21세기북스, 2008
Kotler Philip(저), 용호성(역), 「전석매진」, 김영사, 2007
KT, 「아름다운 책임 2004 KT 사회공헌활동 백서」, KT, 2005
KT, 「아름다운 책임 2002 KT 사회공헌활동 백서」, KT, 2003
LG경제연구원, 「2010 대한민국 트렌드」, 한국경제신문, 2007
Peter F. Drucker(저), 이재규(역),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한국경제 신문사, 2003
SK자원봉사단, 「2009 SK 사회공헌활동 백서」, SK텔레콤, 2010
SK자원봉사단, 「2008 SK 사회공헌활동 백서」, SK텔레콤, 2009
SK자원봉사단, 「2006 SK 사회공헌활동 백서」, SK텔레콤, 2007
SK자원봉사단, 「2004 SK 사회공헌활동 백서」, SK텔레콤, 2005
SK자원봉사단, 「2001 SK 사회공헌활동 백서」, SK텔레콤,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