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백범기념관을 다녀와서
- 최초 등록일
- 2002.12.02
- 최종 저작일
- 2002.12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백범 기념관을 찾은 후의 감상문과 백범 김구의 일생 그리고 그의 죽음에 관한 일련의 의문점 그리고 각종 사진 자료를 다양하게 담아봤습니다...
좋은 자료일거라고 자부합니다....
참 이것 내고...A+ 받았지여...ㅎㅎㅎ
목차
서론
본론
1. 백범 기념관을 찾아서
2. 백범 김구 선생의 생애
(1) 치하포 사건
(2) 상해망명
(3) 해방 이후
3. 백범 선생의 서거에 대하여
(1) 사건의 진상
(2) 암살 관련 자료
결론
백범 선생에 대한 인물론과 사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의 소원은 통일, 우리의 소원은 통일입니다.” 누구나 입으로는 조국과 민족을 위한다. 국회의원이 그렇고, 장차관이 그렇고, 고급공무원이 그렇고, 장성이 그렇고, 재벌이 그렇다. 그러나 입방정이 아닌, 진정으로 조국과 민족을 위해 자신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이 고금을 통틀어 몇이나 될까? 다시 묻자. 당신은 진정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는가? 만약 살아있다면 이 물음에 "그렇소."라고 답해도 한 점 부끄럽지 않을 사람 백범 김구(1876~1949). 동학농민혁명의 청년장교이자 독립운동가, 명성황후 시해에 항의하는 뜻에서 일본인 장교를 처단한 의혈청년이자 교육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무국장, 주석을 지낸 백범 김구 선생의 기념관이 가까이에 세워졌다고 했다. 많은 민족의 열사와 의사들의 기념관이 세워져 있음에 2년 전부터 그 사업이 시작됐다고는 하나 왜 선생이 떠난지 53년이나 지난 지금에서야 세워졌다고 하니 조금은 놀랍고‘왜 이제야?’라는 물음을 가지고 백범 기념관을 찾게 되었다. 기념관을 찾으면서 머리가 아닌 마음 깊이에서 다시금 알게 된 백범 선생의 깊은 뜻과 그의 인생길을 알아보고 백범 선생의 인물론과 사상을 적어 봄으로써 보고서를 마무리 해보겠다.
참고 자료
한국근대인물의 해명, 이이화, 한길사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백범일지(백범 김구 자서전),김구 저 도진순 역, 돌베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