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과 지능발달을 위한 교수법
- 최초 등록일
- 2002.12.02
- 최종 저작일
- 2002.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창의성>
1) 창의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
2)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
3)창의성 교육의 환경
4)창의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방법
<지능>
1) 지능의 발달에 미치는 환경의 영향
2) 지능이 어떻게 하면 발달되는가?
3)지능검사의 오용
4) 교수법(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수업방법)
본문내용
<창의성>
창의성에 대해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해 보자면 창의성이란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 민감성, 동기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보여지는 자기표현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적 사고능력은 반드시 공부를 많이 한 사람에게서만 발견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렇다고 남달리 지능이 뛰어나야 하는 것도 아니고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도 아니다. 사람들은 각자 삶을 살아가면서 그런 능력을 개발해 간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러한 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교수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1) 창의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
학자들은 지능이 학업성취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지능은 학업성취에 많은 예언량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능과 창의력의 상관은 낮다고 한다. 지능과 창의력의 관계는 지능이 우수한 집단에서는 상관이 낮으나 지능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관이 높다. Guilford는 지적 구조 모형에서, 지능의 일부인 확산적 사고를 창의성으로 규정하였으나 대부분의 지능검사들은 창의력을 측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지능과 창의성은 낮은 상관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Wallach와 Wing은 대학 신입생들의 확산적 사고와 학업 성취간의 상관은 거의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