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원론] 신경제에서의 지식인의 지위와 역할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경제
(2) 1990년대 이후 한국 지식인론의 변화
(3) 이문열씨 논쟁
(4) 신지식인
3. 결론
본문내용
「 이 나라에 IMF와 산업구조조정이라는 태풍이 몰아치고 있다. 이 구조조정의 와중에 수많은 기업과 기업인, 은행원 그리고 근로자들이 부도와 실직의 아픔을 겪고 있다. 150만이 넘는 실직자들이 일거리를 찾아 거리를 배회하고 있고 수많은 노숙자들이 힘겨운 삶을 영위하고 있다. 서민들의 삶은 말할 것도 없고 중산층의 삶도 점차 와해되고 있다. 극단적인 삶의 양극화 현상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열심히 살아온 사람들에게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이 불행한 사태를 두고 전문가들의 다양한 원인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재벌과 정치인 그리고 관료집단의 부정부패와 비합리성이 그 원인이라는 진단에서부터 분수도 모른 체 함께 흥청망청한 우리 사회 전체 구성원에 그 책임이 있다는 자성론까지 다양한 진단들이 내려지고 있다. 그러나 재벌을 비롯한 정치인과 관료들이 저지른 부정부패에 그 책임이 크다는 것이 중론이고 그래서 이들이 먼저 구조조정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국민들의 비판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국민들의 분노와 절규와는 달리 주구 한 사람 국민 앞에 죄송하다고 사죄하는 기업인, 정치인, 관료는 없다. 그래서 이들의 무책임성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와 원성은 높고 현정부의 개혁에 의심의 눈길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쟁을 방불케 하는 상황 속에서도 아무런 전화를 입지 않고 또 비난도 받지 않은 채 홀로 고고하게, 비켜 서 있는 집단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