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재주의 교육철학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실재주의의 개념
2.실재주의의 철학원리
3.실재주의 교육사상
1)교육관
2)교육목적
3)교육방법
4)교육내용
4.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재주의( 또는 실재론)는 우주(宇宙)의 본질(本疾)인 궁극적(窮極的) 실재(實在) (실재(實在 ; reality) 는 물질(物質)이라고 보고 있다. 실재주의는 인식(認識)에 있어서 그 대상이 실제로 있다는 입장(立場)이다.
실재주의의 계보(系譜)를 보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를 시조로 하여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 -1274), 베이컨( F. Bacon, 1561- 1626), 홉스(T. Hobbes, 1577- 1679) 그리고 록크( J. Locke 1632 - 1704) 등을 거쳐 현대(現代)에 이르기까지 서양(西洋)의 과학적(科學的) 전통(傳統)의 기초(期初)가 된 한 선을 긋는 사상(思想)의 흐름이다.
1. 교육(敎育)관(觀)
실재주의에 있어서는 인식(認識)주관(主觀)에 관계(官界)없이 외적(外的)세계(世界)가 독립적(獨立的)으로 실재(實在)한다는 주장이 근본적(根本的)인 특징(特徵)이다.
3.교육방법
과학적 실재론자들은 자연을 직접(直接) 관찰(觀察)하는 등의 감각기관(感覺器官)을 통한 경험적(經驗的) 방법(方法)이 확실한 지식에 도달(到達)하는 방법이라고 강조(强調)하였다. 실재론자들은 지식(知識)중심(中心)의 교육을 주장한다. 이성에 의하여 확인된 지식들을 교육하고 지식을 교과(敎科)체계(體系) 속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체계적으로 조직화(組織化)된 학문들을 배우는 것이 가장 효율적(效率的)인 방법(方法)이라는 것이다.
참고 자료
1. 김수동, 공병호 공저, 「 교육사·교육철학」, 양서원, 1999
2. 김선양, 박선영 공저, 「 교육사·교육철학」, 갑을출판사, 1987
3. 이돈희, 「교육철학개론」, 교육과학사, 1999
4. 김경식, 「 교육사·철학신론」, 교육과학사, 2001
5. 김재윤, 「 교육철학 및 교육사」, 재동문화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