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상] 로크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내용은 로크의 정치사상에 대한 글이구요.. 서양정치사상사 섭 레포트 임다...
참고자료만 12개나 되구요... 물론 주석은 기본임다..
비록 분량 제한으로 인해 5페이지만 작성했지만 기본적인 체계는 제대로 잡혀있으니까 더 많은 분량을 원하시면 그리 많은 수고 없이 살만 몇자 붙이면 됩니다.
목차
*서론
*본론
ㅇ시대적 배경
ㅇ로크의 정치사상
- 자연상태 및 자연법
- 소유권
- 사회계약론
- 통치기구론
- 저항권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크에 있어서 국가는 자연권의 보존을 위해서 인공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시민사회의 제영역에 있는 인민의 자유스러운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외적인 기구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여기서 그 이론의 가치성이 발견된다. 또한 어떠한 정부일지라도 개인의 자연권을 보호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정부는 도덕적 권위를 위한 요구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정치사상에 대한 로크의 공헌은 정부의 도덕적 책임을 정의한 것이며 동시에 로크는 정부의 어떠한 형태를 정당화하려고 했다기보다는 지배자의 악정에 대하여 저항하는 인민의 권리추구에 중요성을 부여했다. 로크의 자유주의는 인민주권론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인민의 승인을 기초로 하지 않고 수립된 정부는 정당한 정부가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정부도 정복·찬탈·폭정 등에 의해서 수립되거나 운용된다면 인민에게 복종을 요구할 권리를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부정한 힘에 대하여 반항하는 것은 정당방위이며, 폭정은 권위 없는 행위로서 위정자의 자격을 상실하게 하므로 인민의 저항을 받아 마땅하다는 것이다. 권위가 없는 폭정으로부터의 진정한 구제는 그것에 대하여 인민의 힘으로 대항하는 것 뿐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크의 정부에 대한 저항권 이론은 현대 민주주의적 논리의 전제가 되는 개인의 권리, 즉 인권사상과 동의에 대한 지배의 원칙을 형성해 줌으로써 현대 민주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참고 자료
김계수 「구미정치사상사」일조각, 1989
노다 마타오 저, 정달현 옮김 「로크의 삶과 철학」이문출판사, 1998
레온 P. 바라다트 저, 신복룡 외 옮김 「현대정치사상」평민사, 1985
브라이언 레드테드 저, 황주홍 옮김 「서양정치사상-플라톤에서 아렌트까지」
문학과 지성사, 1993
우도 틸 저, 이남석 옮김, 「로크」한길사, 1998
이수윤 「정치사상사-정치사와 정치사상과 역사철학의 통일」법문사, 1999
정인흥 「정치사상가 평전」박영사, 1976
정종호 「신세대를 위한 정치사회사상의 이해」청목출판사, 1999
정헌빈 「John Locke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원광대 교육대학원, 1991
조지 세이빈·토마스 솔슨 「정치사상사2」한길사, 1983
조지 세이빈 저, 성유보·차남희 역 「정치사상사」을유문화사, 1980
폴 스트래던 저, 곽노완 옮김 「우리가 누리는 자유의 창시자 로크」펀앤런북스,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