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학용어정리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권위 혹은 지배(Authority = Herrschaft ; 남성의)
(2) 카리스마적지배
(3) 권력엘리트(The Power Elites ; C. Wright Mills)
(4) 관리된 사회(Administered Society)
(5) 일차원적 인간(One-dimensional man)
(6)성에의한 계층화
(7) 사회체계(Social System)
(8) 사회진화론(Social Darwinism)
(9) 퍼스낼리티체계(Personality System)
(10) 귀속성 - 업적성 (Ascription - Achievement)
(11) 가치의 일반화(Value Generalization)
(12) 역기능(Dysfunction)
(13) 기능적 대안물(Functional Alternative)
(14) 아노미(Anomie ; 무규범)
(15) 감정규칙(the rule of emotion)
Ⅱ. 다렌도로프의 갈등이론의 장점과 한계를 설명하시오.
Ⅱ. 다렌도로프의 갈등이론의 장점과 한계를 설명하시오.
Ⅳ.현대 한국의 가족, 대학, 회사 등의 사회체계의 예를 들어 AGIL도식에 의해 분석해 보시오.
본문내용
(1) 권위 혹은 지배(Authority = Herrschaft ; 남성의)
막스베버는 권위 or 지배란 지위나 역할에 부여된 권력의 특수한 형태로써, 권력에 도덕적으로 정당성(Legitimacy)이 포함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정당성(Legitimacy)이란, 피지배계급이 지배받는 것을 정당하다 인정하는 것으로, 이는 법률, 관습, 전통 등 조직이 공유하는 사회적 규범(norm-shared value)에 의하여 제약받고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 유지위한 규범의 성격을 지닌다.
(규범>권위) Legitimacy Power
cf) 권력(Power) : 행위자가 자신과 사회적관계(relationship)를 맺고있는 다른 사람들의 저항을 무릎쓰고라도 강제적으로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수 있는 가능성(chance), 능력(probability rests). 이는 폭력, 강간, 무기 등 강제력의 근거는 무엇이든 상관없다는 naked 의 권력개념.
기능주의와 갈등주의는 권력과 사회적 지위간의 대응관계에 대해 같은 관심을 가졌다. 기능주의에서 권력은 강제력이 아닌 사회 유지위한 '권위'의 성격을 지닌다.
한편, 갈등주의에서는 권력 자체가 희소자원이기 때문에 소유할수 있는 사람은 한정되어있어 사회계층화와 갈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보았다.("zero-sum법칙") 또한, 권력을 질서유지의 기초라 보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