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자본주의 광고와 성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대중문화론과 여성학에서 한번쯤은 고려해 볼만한 관점이더군요
목차
1. 서론
2. 광고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3. 광고와 성(性)
4. 맺으면서
본문내용
2. 광고와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1) 자본주의의 역사
1920년대에 생산방식이 대량생산과 대량분배로 넘어감에 따라 이전의 노동자는 소비자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생산관계가 생산력과의 모순으로 지속될 수 없다는 마르크스의 이야기와는 달리, 현대 자본주의는 생산 현장의 모순을 다른 모순(예를 들어 상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능력간의 차이)으로 은폐함으로써 생산력의 발전을 도왔고, 지속시켜 나가고 있다. 이렇게 초창기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모순이 끊임없이 새로운 모순들로 대체되어 가면서 모순이 은폐되고 사회적 갈등이 진공상태로 변하게 된다. 광고는 이러한 논리를 앞세워 자본주의의 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소비 시장의 팽창에 큰 기여를 했다. 그 결과 현대 자본주의는 생산관계와 생산력 간의 모순을 다른 방식으로 풀어 나가는 데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즉 광고는 인간의 노동 생산력보다 훨씬 더 높은 이윤과 가치를 가진 생산수단으로 쓰였다.
2) 자본주의 광고
광고는 유행을 선전하며 대중들을 그 유행에 끊임없이 뒤쫓아오게 만들어서 계급 모순을 돈많은 소비자와 돈 없는 사람의 형태로 바꾸었다. 바로 이렇게 사람들이 소비자라는 점에서 모두 동등하게 느끼게 하고, 이 동질화의 전략이 계급 문제를 무마시켜, 자본의 가치증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광고의 역할이다.
참고 자료
대중문화론 여성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