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토목] 지진과 내진설계
- 최초 등록일
- 2002.12.01
- 최종 저작일
- 2002.12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와 책에서 구한 자료를 정리하였고
사진과 도표를 많이 닮아서 도움이 많이 될꺼에요...
목차
1. 지진의 개요
(1) 지진이란?
(2) 지진의 종류
(3) 지진 요소
(4) 지진의 원인
(5) 규모와 진도
(6) 지진파
(7) 지진이 나타나는 모양
2. 국내의 지진활동
3. 건축구조물의 내진설계
1) 내진설계의 이해
2) 내진설계시 고려되는 사항들
3) 국내 내진규준
본문내용
- 발생원인에 따라서
1) 단층지진(Dislocation Earthquake)
지각 변동으로 지반에 축적된 힘이 단층이 생길 때 발산되어 일으키는 지진을 단층지진이라 한다. 대규모의 지진은 대부분 단층 지진이다.
2) 화산지진(Volcanic Earthquake)
화산지진은 화산지역에서 화산폭발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지진이다. 또한 지하에 마그마가 관입할 때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도 화산지진에 속한다.
3) 함락지진(Downfall Earthquake)
지하에 큰 공동(석회동굴등..)이 무너지면서 생기는 지진을 함락지진이라 한다
4) 인공지진(Man-made Earthquake)
땅 속에서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지하 핵실험 등으로 지진과 유사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인공 지진이라 한다. 인공지진은 아니지만 인간의 행위가 원인이 되는 지진으로서, 깊은 우물에 대량의 물을 주입하거나 높은 댐을 만들어 저수하면 그 부분에 지진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유발지진(induced earthquake)이라고 한다.
으로 분류한다. 이들을 자연지진(natural earthquakes)이라 하는데 대부분의 지진은 구조지진으로서 지구외부의 대규모 변형을 일으키는 힘의 원동력인 구조력(tectonic force)에 의하여 축적된 탄성에너지가 일시에 방출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화산지진은 화산지역에서 화산폭발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지진이며, 함몰지진은 지 각 내부 어딘가에 연약한 지반이나 공동(空洞)이 내려앉으면서 발생하는 지진이다. 기타, 진앙거리 1000km를 기준으로 근거리 지진과 원거리 지진으로 구분하고, 깊이에 의해 60-70km미만은 얕은지진(淺發地震), 300km이상은 깊은지진(深發地震)이라 하고, 그 중간에 해당하는 것은 특별한 용어가 없다. 다만, 편의상 다소 깊은지진이라 부르 거나 '150km깊이지진'과 같이 깊이를 함께 말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