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윤리] 폭력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폭력이란 무엇인가?
2. 텔레비전과 폭력
3. 대표적인 네 가지 이론
4. 텔레비전 폭력의 심의기준
5. 우리 나라의 문제점
본문내용
텔레비전 드라마의 역사는 TV의 등장과 거의 때를 같이 한다. 드라마는 본질적으로 폭 넓은 소구력을 가진 텔레비전 운영자가 상업적 안정성을 추구하는 전략적 포맷이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사회 현실을 그리고 우리 사회에는 어떤 형태로든 많은 폭력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의 현실성과 진실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폭력적인 측면을 무시하기 어렵다. 폭력은 드라마를 제작하는 입장에서 상당한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의 폭력 묘사는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1.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의 정의는 간단하지 않다. 사전에서는 ① 함부로 사나운 짓을 하는 힘, ② 난폭한 힘, 무법한 완력, 강력, ③ 어떤 권력집단이나 반대파 등을 타도하거나 분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치상, 군사상의 강제적인 힘, 사람이나 재산에 위해를 가하거나 부상을 입히기 위한 물리적 힘의 행사라고 폭력을 정의하고 있다.
이렇듯 물리적인 것만이 폭력일까? 주관적이기는 하지만 거브너(Gerbner)이후 폭력에 대한 정의는 상당히 구체화되었다. 거브너는 폭력을 인간 상호작용의 한 형식으로 보고, 폭력은 생물체의 가하는 물리적·심리적인 위해, 상처 또는 죽음을 포함한다고 정의하였다.
참고 자료
미디어윤리, 김우룡, 나남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