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한국불교의 전통적 교학사상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韓族 사상과 불교
2. 통화(統和)사상의 존립
본문내용
2. 통화(統和)사상의 존립
1) 현대적인 의의 : 현대의 자폐성을 돌파하는 사명을 가진 한족사상을 원효대사의 사상을 원형으로 하여 그 이론의 진실됨과 전개의 타당함을 추구하고자 함. 그 이유는 동질성의 종교라든지 문화라고 하는 것은 동일한 양식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조직을 지탱하는 주체는 민족일 것이다. 민족이 가진 자율성과 창의성의 기조가 없이는 생육하기 극난하기 때문이다.
2) 대중불교 건설
① 불교는 공인 후 국가종교로서 급속히 확장 ☜ 그 원인은 개인의 안심입명(安心立命)과 만민함락(萬民咸樂)과 국조융창(國祚隆昌)이 불교에 의해 완수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② 신라에서 불교사상의 보급에 강한 영향을 끼친 것은 원효대사이다.
③ 원효대사는 국내의 사상통일과 사회의 화평안정에 공헌
3) 교리의 파악과 행동
① 원효대사는 불교의대중화에 공헌하고, 삼장(三藏)의 조예(造詣)를 극(極)하고 복잡한 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통화(通和)의 불교를 완성하는데 성공
② 원효대사의 남아있는 20부 23권과 서문, 발문이 2~3편 남아 있음. 그의 저서를 보면 모든 학파를 융합하고 그것으로부터 통일적인 불교를 성립시키려고한 것이 명확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