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 오소리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오소리에 정의
2.오소리의 생김새
3.오소리의 먹이
4.오소리의 행동 및 습성
5.오소리의 번식주기
6.오소리의 이용가능성
7.오소리의 경제성
1>담즙
2>오소리 기름
8.오소리 사육
1>오소리 사육장
2>사육장 설치시 유의사항
3>사육장 설치 방법
본문내용
1.오소리란
오소리(Eropean Badger, Meles meles)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로부터 영국, 스웨덴 등 유럽 및 시베리아에 분포하며(원병휘, 1967), 분포지역에 따라 서식밀도는 0.1-4.0개체/㎢로 서식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한국의 오소리 서식 밀도는 정확히 조사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오소리에 대한 연구는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산림에서의 역할, 서식영역, 가축과 연관된 기생충 및 병균전파 매체로써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인공증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한방과 민간치료 요법 및 식용으로 오소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에 의하여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국제거래가 규제됨에 따라 국가간 거래가 금지된 웅담 등 한방약재로 이용하던 야생동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동물자원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용가능성이 크고 효용가치가 높은 야생동물을 인공증식함으로써 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인공증식 기술개발로 지속가능한 이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고, UR 및 WTO 체제하의 농산물 수입개방 등에 대응할 수 있는 농산촌의 새로운 소득자 원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97년도의 전국적인 오소리 사육실태는 '96년도에 비하여 40% 정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인공 증식기술과 사육 정적 시설이 개발되어 보급되지 않은 실정으로, 농산촌의 소득 증대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 보호차원에서도 오소리의 인공증식 기술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참고 자료
두산백과사전
http://www.nlri.go.kr/korea/
http://cowboys.gsnu.ac.kr/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