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빈세,토빈세에대한입장,유럽국가토빈세,우리나라토빈세
- 최초 등록일
- 2012.09.18
- 최종 저작일
- 2012.09
- 12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800원 
판매자wjd******* (본인인증회원)
12회 판매
소개글
토빈세,토빈세에대한입장,유럽국가토빈세,우리나라토빈세
목차
① 토빈세란?
이슈가 된 배경
② 각 국의 토빈세에 대한 입장 정리
- 찬성 Or 반대
(유럽국가, 우리나라)
③ 결론 – 우리나라의 입장
본문내용
단기성 외환거래에 부과하는 세금.
국제 투기 자본의 급격한 자본 유∙출
입으로 각국의 통화가치가 급등락하
여 발생 하는 금융위기를 막기 위한
방안.
토빈세 도입문제는 정상회의 합의문에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G20정상 공동 명의로 국제통화기금(IMF)에 토빈세 도입에
관한 연구 ·검토를 요청.
“토빈세, 최소비용으로 시장 효율성을 높인다.”
- 국제 투기자본장기투자결정에는 을 억제하면서도
장기투자결정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막대한 세원 확보”
- 0.05%의 토빈세만 물려도 EU는 연간 2150억 유로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이는 그리스 2차 구제금융 규모1586억 유로를 가볍게 넘는다.
“모든 국가가 토빈세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토빈세가 없는 나라로 국제 자본이 몰리기
때문에 효력이 상실될 것이다.”
“금융거래세를 도입하게 되면 금융거래가
위축될 뿐만 아니라 런던에 기반을 둔
금융기관이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