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를 다녀와서...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통도사에 관한 답사이 임다
모두들 리포트 잘 쓰세요~~
목차
Ⅰ. 통도사의 내력
◈통도사의 유래
◈통도사의 창건과 자장
Ⅱ.통도사 답사기
◈통도사로의 불안한 출발
◈성보박물관
◈하로전
◈중로전
◈서운암
◈통도사의 가람배치
Ⅲ.글을 마치며...
◈건축 어휘 모음
◈출처
본문내용
◈통도사의 유래
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가 있어, 팔만대장경을 간직한 법보사찰인 해인사와, 보조국사 이래 열 여섯명의 국사를 배출한 승보사찰인 송광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사찰로 불보사찰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 모든 진리를 회통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이 절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의 자장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한 데서 비롯된다. 이때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금강계단을 쌓아, 승려가 되고자 원하는 많은 사람들을 득도케 하였다. 이렇게 창건된 이 절은 이후 계율의 근본도량이 되었고, 신라의 승단을 체계화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창건의 정신적 근거이며 중심인 금강계단은 자장과 선덕여왕이 축조하여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한 이후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고 있다.
참고 자료
성보박물관 홈페이지(http://www.tongdomuseum.or.kr/kor/mai/mai.jsp)
'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1998, 서현 지음(효형출판)
고건축 용어자료실(http://www.archimuseum.com/index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