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의 내용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뒤르껭 등 학자에 따른 도덕교육의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제 1 절 사회화 지향의 도덕교육론
제 2 절 발달 지향의 도덕교육론
제 3 절 배려 지향의 도덕교육론
본문내용
1. 뒤르껭의 도덕적 사회화
현대 도덕교육 접근법에 관한 우리의 논의는 금세기 초,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껭(Emile Durkheim)의 저술에서부터 시작한다. 뒤르껭을 현대 도덕교육의 시조로 보는 것은 온당하다. 그는 작금의 도덕교육논의에서 홀대받거나 유해한 인물로 모략 받지만, 그는 사실상 도덕교육에 관한 모든 현대적 분석의 개념 영역을 체계화해 놓은 사람이다. 뒤르껭은 도덕교육을 광범위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그의 이론에는 오늘날 도덕교육의 이론가와 교육자들의 관심을 끄는 쟁점과 문제,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다. 더구나 어떤 의미에서는 현대 도덕교육 접근법들의 상당수가 뒤르껭의 접근법에 대한 반응과 반작용의 산물이라 하겠다. 이런 연유로 뒤르껭은 우리 논의의 적절한 기점이 될 수 있다. 뒤르껭에 의하면 도덕은 주로 사회적 규칙과 활동들로 구성된 본래적으로 사회현상인 동시에 사회적 사실이다. 이 말에 거의 뒤르껭의 이론의 핵심이라고 본다. 결국 도덕은 사회의 결속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뒤르껭에 있어 도덕 교육은 집단 규범을 존중하는 것을 키워주고,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강하게 심어주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뒤르껭에게 있어 요지는 명료하다. "사실, 인간이 인간인 것은 그가 사회 속에 살고 있다는 데서만 연유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