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축사] 삼국시대의 고분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벽화로 유명한 고구려 고분
시기별 구분
구조와 형태별 분류
(1)무벽화 봉토묘
(2)벽화 봉토묘
돌무지무덤과 봉토무덤의 백제 고분
시기별 구분
구조와 형태별 분류
돌무지덧널무덤으로 대표되는 신라 고분
구조와 형태별 분류
고분벽화
고구려 문화의 전개와 고분벽화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대별·지역별 특징
벽화에서 찾아본 고구려의 건축
본문내용
고분은 지배층인 피장자의 정치적, 사회적 위치를 잘 나타내며 당시의 매장 관념과 함께 피장자가 속하고 있던 시대상 등도 반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분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 발전하고 지역에 따라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고분 측조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고분 문화 시대의 추이와 지역 사회의 면모를 알 수 있다.
고분의 발생 시기는 고대 국가인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연맹체) 등 여러 나라의 성립 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것과 같이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그 동안의 연구 성과에 의하여 고구려에서는 서기전 1세기경, 백제는 3세기초, 신라와 가야에서는 3세기 중엽경에 고분이 발생하였다고 본다.
고분이란 글자 그대로 오래된 무덤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역사나 유적에서 고분이라 말할 때는 본격적으로 국가가 발생한 서력 기원 이후, 즉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통일신라 등의 나라들에서 만들어진 무덤을 말한다. 한편 고인돌, 돌널무덤과 같은 선사시대의 무덤과 고려 또는 조선시대의 무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고분이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