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에 대한 정책평가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의약분업의 이유
의사·약사 사이에 환자 치료를 위한 역할을 분담하여 처방 및 조제내용을 서로 점검·협력함으로써 불필요하거나 잘못된 투약을 방지하고, 무분별한 약의 오남용을 예방하여 약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의약분업의 목적입니다.
목차
◈ 의약분업 이란
◈ 의약분업 추진 경위
◈ 의약분업의 이유
◈ 의약분업의 장점
◈ 의약분업의 예외사항
◈ 향후 추진계획
◈ 맺음말
본문내용
◈ 의약분업의 이유
의사·약사 사이에 환자 치료를 위한 역할을 분담하여 처방 및 조제내용을 서로 점검·협력함으로써 불필요하거나 잘못된 투약을 방지하고, 무분별한 약의 오남용을 예방하여 약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의약분업의 목적입니다.
의약분업이 철저하게 이루어지는 미국의 경우도 전체 처방 중에서 5%가량은 잘못된 처방이라는 통계가 나오고 있습니다. 잘못된 처방 중의 20%는 환자에게 부작용을 일으켜 매 년 1,000억$ 이상의 직·간접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의약분업의 경제성 평가. 양봉민. '98) 의약분업이 안 된 우리 나라는 이러한 처방 오류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오남용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항생제(페니실린)의 내성률은 의약분업을 실시하고 있는 국가보다 6 - 7배 이상 높고, 그 사용량도 의료보험 환자의 58.9%가 항생제 처방을 받고 있어 WHO 권장치 22.7%보다 상당히 높으며 사용 적합률도 67.4%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