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작가 허난설헌의 생애와 시세계

*창*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2.08.07
최종 저작일
2012.08
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허난설헌의 생애와 작품에 나타난 그녀의 의식 등을 확실하게 파악이 가능한 발표과제물.

목차

허난설헌 탐구

1.생애
1)가계와 생애
2)난설현의 결혼생활

2. 한시 창작 배경과 난설헌의 시세계
1) 사회적 배경
2) 시가작품에 나타난 작가의식

3. 산문작품
1) 전반적인 특징
2) 대표 산문 작품

4. 난설헌집의 위작시비
1) 위작 시비의 발단
2) 위작시비의 원인(김영수)
3) 위작설 비판
4) 위작이 아니라는 견해
5) 위작이 아닌 정황적 근거

5. 작자논란
1) 규원가
2) 봉선화가

6. 정리

본문내용

박지원과 동시대 인물인 유명한 사상가이자 실학자인 홍대용(洪大容1731-1783)도 진보적인 인물이었지만 난설헌에 대한 그의 평가는 매우 부정적이었다. 다음은 그가 중국 북경에서 친구들과 나눈 이야기이다.

난공(중국 문인 潘庭筠): “동방(조선)의 부인들은 시를 잘 지을 줄 압니까?
나(홍대용): “우리나라의 부인들은 단지 언문으로 편지나 쓸 수 있지, 학문을하게 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시는 부인에게 합당한 일이 아니니 간혹 시를 쓰는 여인이 있어도 밖으로 내놓지 않습니다.”
난공: “중국 여인의 시도 역시 적어서 여성의 시가 있으면 마치 경성경운(慶星景雲: 매우 희귀하고 귀중함)과 같습니다.”
역암(중국 문인 嚴誠): “그의 부인은 시를 잘 짓습니다”
난공이 역암을 책망하듯 쳐다보았으나 역암은 난공에게 반응을 보이지 않고 나를 향해 “시비와 혐의를 가릴 필요가 없네. 오로지 술과 음식 만드는 일이 여인의 본분이라네”를 암송했다.
난공: “그런데 <관휴(關)>와 <갈담(葛覃)> 모두 성녀(聖女)가 지은 시가 아닙니까?”
나: “품행이 높은 여인이 시를 짓는 것은 괜찮기는 하지만 품행이 낮은 여인의시는 방탕해질 수 있습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역암의 관점이 제일 정확합니다.”
난공: “귀국에 경번당이라는 허봉의 누이가 있지요. 시를 잘 지어서 일찍이 중국의 시집에 그의 시들이 실렸습니다.”
나: “여인이 바느질을 하고 남은 시간에 <경서(經書)> 역사를 읽고 <여계(女誡)>를 배우며, 규범에 근거해 자기 자신을 단속하는 것이 부녀의 올바른 일입니다. 만약 문장을 쓸 줄 알아 시로써 명성을 얻는다고 하여도 이는 결코 바른길이라 할 수 없습니다.”

참고 자료

김영수, 「허난설헌 연구 : 작품에 나타난 심상 분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9
김인정, 「허난설헌의 한시 연구 : 위작시비 및 작품 재해석에 주안하여」, 단국대학교, 2002
이혜순 외,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 태학사, 1999
이혜순, 「규원가, 봉선화가의 작자고」,『한국시가문학연구』, 신구문화사, 1983
이혜순, 「규원가 독해」,『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중세후기문학-」 3판, 지식산업사, 2000
한성금, 「허난설헌 한시의 미학」,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황패강 외, 「한국문학작가론2-조선시대의 작가1」, 집문당, 2000
황혜경, 「허난설헌 한시를 통해서 본 여성의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창*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글파일 허난설헌(허초희)에 대해서 6페이지
    전해지고 있다. 3. 난설헌집 시문의 내용과 특징 허난설헌의 시는 중국 ... , 조선조 최초의 여성시난설헌집》은 중국에도 전해졌다. 난설헌의 시를 ... 매력적인 인물이다. 허난설헌조선중기 허엽의 딸로 태어났다. 양천
  • 파워포인트파일 허난설헌 30페이지
    [ 난설헌집 ] 을 펴냈다 . 허난설헌의 한 작품 소개 자식 잃은 ... 허난설헌의 성장 조선중기 문신으로 동인의 허엽의 딸로 태어났다 ... . 양천 씨 , 이름은 초희 남동생은 홍길동전 허균 허엽 문의 학문에 대한
  • 한글파일 비운의 천재 시인 허난설헌 6페이지
    만들었고 후에 "난설헌집"으로 출간한 것이다. 난설헌집"(1608년)의 ... 없었으면 불능했다. 오명제는 1597년 조선에 사신으로 와 허균 ... 비운의 천재 시인 허난설헌 Ⅰ. 서론 (선정 동기) 허균의 누나로 잘
  • 한글파일 조선 시대의 페미니즘(조선 시대 여성의 활약상, 허난설헌의 의의) 9페이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허난설헌은 한시의 여류작가 많지 않던 조선 ... 우리나라에서 출간된 은 허균이 공주 목사로 있으면서 난설헌 사후 ... 이다. 허난설헌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홍길동을 지은 조선조의 천재 허균의 누이이자
  • 한글파일 허난설헌 13페이지
    . 허초희의 작품 세계 1) 규원가(閨怨歌) 기- 늙고 초라한 신세를 한탄 ... . 1607년(선조40년) : 이 해 4월 허균이 『난설헌집』을 목판 ... 본으로 출판하였다. 난설헌집의 발문은 태안 피향당에서 지었다. 1711년
  • 한글파일 [국문학] 허난설헌 9페이지
    유언에 따라 모두 불태워졌다. 허난설헌의 문학 《난설헌집(蘭雪軒集)》 [난 ... 허난설헌 (들어는말) 난설헌 허초희는 우리에게 그다지 친숙한 이름은 ... (明)나라 시인 주지번(朱之蕃)에게 주어 중국에서 『난설헌집』으로
  • 한글파일 [고전문학작가론]조선시대 여류작가 4페이지
    규원가 유명하다. 3. 매창(梅窓)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매창(1573 ... - 조선시대 여류작가 - 1. 신사임당 (申師任堂) 신사임당은 1504 ... 것으로 보인다. 난설헌의 작품 일부는《난설헌집》으로 간행되었고, 그 외에도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프레시홍 - 주꾸미
  • 르네셀 화장품
  • 프레시홍 - 주꾸미
고전문학작가 허난설헌의 생애와 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