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부하검사
- 최초 등록일
- 2012.07.30
- 최종 저작일
- 2012.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심혈관간호, 심장간호, 심장혈관병원, 심장수술 전, 후 검사, 심장병동 각종 검사, 심장관련 문헌조사, cardio, 순환기계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운동부하검사(exercise test 또는 stress test)는 임상적으로 나타난 증상과 징후로 보아 심장질환이 의심되나 심전도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대상자에게 운동부하로 심근허혈을 유발시키기 위해 운동으로 심장에 부담을 가하면서 심전도를 찍는 검사이다. 심근허혈의 결과로 나타나는 협심증 환자 중 25~40%의 환자가 안정시 정상 심전도 소견을 보이며 심근경색증 환자의 20%에서도 정상 심전도를 나타낸다. 운동부하 검사는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진단 보조방법으로 협심통과 기타원인에 의한 흉통을 구별할 수 있고 관상동맥 폐색 환자에서 폐색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운동부하 검사 중 심전도, 심박동수, 혈압을 기록하여 심전도상의 ST-T파의 변화를 기록 분석하게 된다.
운동부하 검사 방법
1) Master 2계단 운동부하 검사
: 2계단을 성별, 연령, 체중에 따라 정해진 횟수를 일정시간 동안 올라갔다 내려오는 왕복 운동
2) 답차 운동부하 검사(Treadmill exercise teat)
: 경사와 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벨트 위를 대상자가 걷도록 하는 검사
증상이 없는 관상동맥질환의 진단에 유효한 보조적인 방법으로 환자에게 운동량을 증가시키면서 운동이 끝날 때 까지 계속 심전도와 심박동수, 혈압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환자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답차 위를 계속해서 걷게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