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문헌
· 단행본
· 김열수, 『국제기구를 통한 분쟁관리: 국제연합의 평화유지활동(PKO), 서울: 오름, 2000
· 박재영, 『국제기구정치론』, 서울: 법문사, 1998
· 국방부, 『유엔평화유지활동(PKO)의 실체』, 서울: 국방부, 1994.
· 국방부, 『국제연합과 평화유지활동: 국제분쟁론』, 서울: 국방참모대학, 1997.
· 국방부, 『유엔 PKO의 이론과 실제: 국제분쟁의 PKO적 접근』, 서울: 국방참모대학, 1999.
· 박치영, 『유엔정치론』, 법문사, 1998.
· 김대순, 『국제 법론』, 삼영사, 2001.
· 존 메릴스, 『국제 분쟁의 해결 방법』, 교육과학사, 1998.
· 강성학 외, 『동아시아의 안보와 유엔체제』, 집문당, 2003.
· 국방부, 『유엔 평화유지활동 재조명』, 1995.
· 최은침, 『유엔평화유지활동의 변천과 향후 전망』, 2002.
· 송영선, 『한국 PKO가 나아갈 방향』.
·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유엔과 이라크 전후 복구』, 2003.11.
· 김순규, 『신국제기구론』, 서울: 박영사, 1993.
· 김행복, 『20세기 지구촌 전쟁』, 서울: 병학사, 1996.
· 외교안보연구원, 『1999년 국제정세전망』, 서울: 외교안보연구원, 1998.
· 이근수․성채기, 『세계 분쟁 양상과 전망』, 서울: 한국국방연구원, 1994. 10.
· 이금순,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인도적 지원사례』,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 전성훈, 『한반도 군비통제방안 연구: 유럽 군비통제조약의 시사점과 관련하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3.
· 2) 논문
· 박홍순, “국제군비통제와 유엔의 역할,” 『국방논집』제3호, 1996년 여름.
· 이상우, “21세기 세계질서와 평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 자유주의적 시각에서의 처방적 제안,” 『국제정치논총』제36집 제1호, 1996.
· 최종철, “탈냉전 세계의 저강도 분쟁과 한국의 국제안보전략,” 『탈냉전 후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문제점/대책』, 서울: 국방참모대학, 1997.
· 高井鎭 저, 김덕현 역, “UN 평화유지기능의 이념,” 『군사과학자료』제24호, 대전: 육군대학, 1993.
· 권행근, “지역 분쟁과 PKO실패,” 『군사논단』, 1996. 겨울호.
· 김유남․노병렬, “동북아 안보레짐의 형성 및 가능성: 다자간 안보협의체와의 상호보완성 연구,” 『국제정치논총』, 제39집 1호, 1999.
· 배진수, “한반도문제에 대한 유엔 PKO 적용가능성 분석: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하여,” 『평화논총』제4권 1호, 서울: 아태평화재단,
· 이삼성, “한반도 평화체제의 비전과 요건: 3단계 평화과정의 개념,” 곽태환 외 공저,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서울: 극동문제연구소, 1997.
· 이석수, “동북아 안보협력의 문제점과 전망: 총론적 평가,” 이기택 외 공저, 『전환기의 국제정치이론과 한반도』, 서울: 일신사, 1997.
· 홍규덕,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간 안보협력: 이론과 실제,” 『지역연구논총』, 제6집, 1994.
· 3) 기타 자료
· (1) 정기간행물
·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외교백서』
· 동아일보사, 『신동아』
·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 국가안보정책연구소, 『정책논단』
· 대한민국 국방부, 『국방백서』
· 세종연구소, 『국가전략』
· 신아세아연구회, 『신아세아』
·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 (2) 인터넷 참고자료
· 『중앙일보』
· http://www.joins.com/
· 『동아일보』
· http://www.donga.com/
· UN 홈페이지
· http://www.un.org/
· 미국외교정책 위원회 홈페이지
· http://www.ncafp.org/
· 한국국방부 홈페이지
· http://www.mnd.go.kr/
· 미국 국방부 홈페이지
· http://www.defenselink.mil/
· 한국외교통상부 홈페이지
· http://www.mofat.go.kr/main/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홈페이지
· http://www.kris.or.kr/
· 한국통일부 홈페이지
· http://www.unikorea.go.kr/
· 외국문헌
· 단행본
· Durch, William J., The Evolution of UN Peacekeeping: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Studies, London: Macmillan Press, 1994.
· Thakur, Ramesh and Caryle A. Thayer, eds., A Crisis of Expectations: UN Peacekeeping in the 1990s, Boulder: Westview Press, 1995.
· Aslam, Mohammad, Facts about Kashmir, Rawalpindi: Kashmir Press International, 1993.
· Bull, Hedley, The Anarchical Society: A Study of Order in World Politic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7.
· Huntington, Samuel P.,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Norman and London: Univ. of Oklahoma Press, 1991.
· UN Centre for Disarmament Affairs, The United Nations Disarmament Yearbook 1996, New York: UN Publication, 1996.
· 논문
· Carlsson, Ingvar, “The UN at 50: A Time to Reform", Foreign Policy, No. 100(Fall 1995).
· Barnett, Michael, "The New UN Politics of Peace: From Juridical Sovereignty to Empirical Sovereignty," Global Governance, Vol. 1 (Winter 1995).
· Carlsson, Ingvar, “The UN at 50: A Time to Reform," Foreign Policy, No. 100(Fall 1995).
· Cho, Gil Dong, "Disarmament and Confidence-Building on the Korean Peninsula," United Nations, Disarmament Tropical Paper
· Non-Proliferation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Asia and the Pacific, New York: United Nation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