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디자인 경향과 바우하우스
- 최초 등록일
- 2012.04.30
- 최종 저작일
- 2010.09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luna****
11회 판매

소개글
유럽 대표적인 디자인 선진국들의 국가별 디자인 경향에 대한 특성과 사진자료
바우하우스의 탄생과정, 조형이념과 바우하우스가 끼친 영향
박수근의 생애와 작품 경향, 작품 사진
목차
1. 유럽의 디자인 경향
1) 스칸디나비아 반도 -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2) 독일
3) 프랑스
4) 영국
5) 이탈리아
2. 바우하우스
1) 바우하우스란?
2) 바우하우스의 탄생과 전개
3) 바우하우스의 조형 이념
4) 바우하우스의 교육 내용
5) 바우하우스가 끼친 영향
3. 화가 박수근
1) 생애
2) 작품 경향
3) 결론과 의의
본문내용
1) 바우하우스란
▫ 1919년 건축가인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 1883-1969)가 독일
바이마르(Weimar) 지역에 세운 일련의 종합조형학교
▫ 바우하우스(Bau+Haus) → 건축하는 집
2) 바우하우스의 탄생과 전개
▫ 혁명의 봉기 이후 독일 공화국은 바이마르 공화국 창설에 참여하는 중이었다. 바우하우스학교는 1919년
일차 세계대전에 이어 독일에서 혁명의 투쟁이 한창인 가운데 생겨났다(바이마르 시대). 그러나 사회의 진
보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공격으로 그로피우스는 해체할 결심(1924)을 할 정도로 상황은 불안정해졌다.
▫ 그리하여 데싸우 시의회의 학교 인수 제의로 1925년 4월부터 1932년 9월 30일까지 데싸우로 학교를 옮겼
다(데싸우 시대). 1931년 가을 시의원 선거에서 나치당원과 민족주의자들이 과반수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1년 후 시의회에 의해 폐교가 표결되었다.
▫ 그 후 1932년 베를린의 폐쇄된 공장으로 옮겨졌으나(베를린 시대), 1933년 4월, 나치에 의해 폐교되었다.
3) 바우하우스의 조형이념
▫ 순수미술(fine arts)과 응용미술(applied arts)의 구분을 배제
하여 모든 조형예술 분야, 즉 회화, 조각, 공예, 현대적 의미의
디자인 등을 새로운 건축의 긴밀한 구성요소로써 재통일하려
하였다.
| 바우하우스에서 고안한
벽 부착용 스탠드
또한 예술(art)과 기술(technology)의 종합을 시도하여 일련의 총체적 예술(Gesamtkunstwerk)을 목적으로 한 것이 설립자인 그로피우스의 이념이다.
(후략)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