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Piget의 인지발달이론
- 최초 등록일
- 2002.11.15
- 최종 저작일
- 2002.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서론
인지심리학이란
1.인지심리학의 정의
2.인지심리학의 특성
·본론
Piget의 인지발달이론
1.개념
2.단계
3.piaget 이론의 제한점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동화 :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용 가능한 지식과 선호하는 방식으로 외부의 대 상이나 상황을 해석하고 구성하는 것이다. (양적변화)
② 조절 : 인지구조의 발달변화(질적변화)로서, 기존 지식방식에서 새로운 외부 대상이나 상황이 해석(동화)이 안될 때, 갈등이 생기고, 갈등해소를 위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 활동이 조절이다.
③ 균형 : 피아제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심리적 구조를 일관성 있고 안정된 행 동양식으로 조직하려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평형이란, 개인의 정신적 활동과 환경간의 균형의 상태를 의미한다. 쉽게 동화될 수 없고 조절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개인의 심리 구조는 평형을 잃어버리게 된다. 평형을 잃어버린 상태의 개인의 심리구조가 다시 평형화되었을 때는 보다 높은 차원의 심리구조가 획득 된 상태이다. 다시 말하면, 평형화를 통한 심리구조의 재구성이 이루어졌다는 뜻이다. 피아제는 이런 평형화의 원리를 인지발달의 주요원리로 보고 있다.
참고 자료
인지발달이론 -학지사
교육심리학 -학지사
교육심리학의 접근 -홍익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