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공학] 전송매체 기반기술 및 근거리통신
- 최초 등록일
- 2002.11.05
- 최종 저작일
- 2002.11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전송 매체 (Transmission Media)
(1) 유도메체(Guided Media)
■ 꼬임쌍선 케이블(Twisted-Pair Cable)
■ 비차폐 꼬임쌍선 케이블 (Unshielded Twisted-Pair Cable : UTP)
■ 차폐 꼬임쌍선 케이블(Shielded Twisted-Pair Cable : STP)
■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 광섬유(Optical Fiber)
(2) 비유도메체(Unguided Media)
2. 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s : LAN)
(1) 이더넷 (Ethernet)
10 BASE 5 (thick Ethernet)
10 BASE 2 (thin Ethernet)
10 BASE-T (Twisted-pair Ethernet)
(2) 고속 이더넷 (Fast Ethernet)
본문내용
CAD, 영상처리, 실시간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LAN에서 구현되는 새로운 응용은 10Mbps 보다 더 높은 전송률을 제공하는 LAN을 필요로 하고 있다. 바로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이 100Mbps의 속도로 동작한다. 다행히도, 이더넷 방식은 충돌 영역(두 국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최대거리)을 줄이면 속도가 증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더넷의 충돌 영역은 2,500m이다. 이 충돌 영역은 CSMA/CD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10Mbps의 데이터 전송률이 되도록 계산된 것이다. CSMA/CD 방식에서 모든 국은 한 프레임을 전송매체에 전부 보내기 전에 충돌을 감지할수 있어야 한다. 프레임을 모두 보내고 충돌이 감지되지 않으면 국은 전송이 잘된 것으로 간주하고, 프레임의 복사본을 폐기하고 다음 프레임을 보내기 시작한다.
이더넷 프레임의 최소 길이는 72바이트 또는 576비트이다. 10Mbps 전송률로 576비트를 보내면 57.6마이크로초가 걸린다(576bit/10Mbps=57.6) 가장 마지막 비트가 전송되기 전에 가장 처음 비트는 영역의 끝에 도달해야 할뿐만 아니라 충돌이 일어나면 송신측이 감지해야한다. 이것은 576bit를 전송하는 동안 충돌이 감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충돌은 57.6마이크로초 동안에 감지되어야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