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가스화
- 최초 등록일
- 2012.01.04
- 최종 저작일
- 2011.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석탄가스화
목차
석탄가스화·액화기술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설비 구성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공정별 주요 설비
IGCC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
본문내용
기로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질소가스를 공압수송 방식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며 공압수송장치, 분배호퍼, 석탄공급장치 등으로 구성되는데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석탄공급장치는 가압과 감압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압상태의 미분탄을 고압상태의 가스화기에 공급한다.
- 고압 미분탄공급 시스템 : 미분탄을 석탄가스화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고등기술연구원의 Pilot급 시스템에서는 스크류피더에 의한 공급 후 질소 가스에 의해 이송하는 Lean Phase 기류수송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상용화 IGCC 시스템의 경우에는 Dense Phase 미분탄 기류수송 방식을 적용한다.
가스화기계통: 가스화기계통은 석탄공급장치로부터 공압수송되는 미분탄이 공급되는 산소와 고온, 고압의 가스화반응에 의하여 CO, H2와 생성가스 및 용융슬랙으로 전환되는 설비로서 석탄주입노즐, 가스화기, 합성가스 냉각기, 슬랙 록호퍼, MFC(Mass Flow Controller), 증기발생기, 예열버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석탄가스화기 :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운전되는 반응기로서 공급되는 미분탄과 산소의 가스화 반응에 의해 CO와 H2가 주성분인 양질의 합성가스를 제조한다.
- 고온용 내화재 : 석탄가스화기의 경우 가스화 용융을 위하여 1400 ℃ 이상의 높은 온도조건에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고온의 반응구역을 유지할 수 있는 내화재 개발이 중요하다. 현재 해외 일부 공정의 경우에는 내화재 대신 Membrane Wall을 적용한 슬랙 코팅 방법을 사용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