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문학)몰리에르의 타르튀프(Tartuffe)의 감상문, 독후감
- 최초 등록일
- 2012.01.04
- 최종 저작일
- 2010.06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연극 타르튀프 텍스트를 읽고 독자적인 해석과 감상으로 교수님게 높은 점수를 받은 독후감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본론-정치적인 희극
몰리에르는 희극은 악덕을 교화하기 위한 것이고 온갖 설득과 모욕보다도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풍자라고 설파했다. 타르튀프 역시 특정 대상을 상대로 풍자를 유도했고 그들의 악덕을 교화시키길 바랐다는 말이 된다. 타르튀프에서는 그 타겟을 독실한 신앙인이라 자부하지만 신의 이름으로 부패를 정당화하는 귀족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 위계질서가 체계적으로 형성되어있던 시대에서 서민 따위의 출신을 가지고 그들을 비판하고 조롱하기에는 몰리에르는 너무도 비천했는데 루이 14세의 후광에 힘입어 자신의 희극은 부패한 이들을 대상으로 할 뿐이며 당당한 사람은 충분히 즐기고 웃어넘길 수 있다고 뻔뻔하게 변명한다. 그러니까 자신에게 당당하고 부끄러울 것 없는 사람은 이 희극을 보더라도 아무런 동요도 없을 것이라는 말인데 사실 같은 종교인으로써 인정하긴 싫겠지만 그들의 한 실상인 어두운 모습을 들춰내는 것은 본인들이나 그렇지 않은 동위치의 사람들에게도 불편하긴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그렇기에 독실한 신앙인들 사이에서는, 이 희극을 모욕이라 생각하고 제한을 가하려니 괜히 도둑이 재발 저리는 것 같고 담담하게 있자니 그들의 어두운 한 실상을 폭로하는 것 같아 가만 두고 보기가 적잖이 괴로워 두 행동사이에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딜레마도 잠시 귀족들의 거센 반발과 요구로 타르튀프는 공연이 금지되는 당 시대를 고려하면 당연한 조치가 취해지고 몰리에르는 쓴웃음을 지어야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