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장대의 꽃기관 돌연변이체에 대한 분석 및 GUS staining
- 최초 등록일
- 2011.12.17
- 최종 저작일
- 2011.1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생명과학실험
애기장대의 꽃기관 돌연변이체에 대한 분석 및 GUS staining에 대한 실험을 하며 쓴 레포트
목차
1.실험 목표
2.가설
3.준비물
4.실험과정
5.결과
6.Discussion
7.References
본문내용
6.Discussion
(가)돌연변이체 관찰을 통해 각 꽃 기관 형성 유전자의 역할 유추
위에 3쪽에 적힌 ABC모델 테이블에 적힌 유전자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A 유전자는 APETALA1(AP1), APETALA2(AP2)가 있으며 B유전자로는 APETALA3(AP3), PISTILLATA(PI), C 유전자로 AGAMOUS(AG)가 있다. 이 세 유전자는 모두 전사조절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AP2를 제외한 모든 유전자들은 MADS의 유전자들이다. 이 유전자들은 꽃기관 분화를 조절하기 때문에 floral organ identity 유전자라 부른다. AG 유전자는 꽃기관 발달을 조절하는 기능 외에도 화분열조직의 determinate growth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분열조직은 꽃받침, 꽃잎, 수술이 생산될 때까지만 분열조직(meristem)으로 기능하다. 그래서 Table fourth data를 보면 Pe-Pe-Se 무한생장의 반복구조가 보인다. 이로인해 ag 돌연변이체는 중앙부에 분열조직이 계속 남아있어 무수히 많은 수의 꽃기관을 반복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것은 AG 유전자가 분열조직을 억제하여 꽃의 유한생장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A, B, C 세 유전자의 조합에 의해 기관의 형성이 결정된다. ABC모델 표를 보고 추측컨대 A 유전자는 Sepal, Petal B 유전자는 Petal과 Stamen, C 유전자는 Stamen과 Pistil을 담당한다.
참고 자료
유전학의 이해, Robert tamarin 7/e p461~507
Clouse, S. D. (2000) Plant development: a role for sterols in embryogenesis. Curr. Biol. 10, R601-R604.
Doerner,P.(2001)Plantmeristems:amenageatroistoenditall.Curr.Biol.11,R785-R787.
Doerner,P.andWeigel,D(1996).Cell-cellinteractions:Takingcuesfromtheneighbors.Curr.Biol.6,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