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실패사례
- 최초 등록일
- 2011.11.28
- 최종 저작일
- 2011.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윤리경영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ⅰ.현대
1) 회사개요
2) 현대그룹의 부실 이유
3) 현재상태 및 시사점
ⅱ.대우
1) 대우의 성장사
2) 대우의 실패 원인
3)기업윤리 측면에서의 대우
4) 대우 그룹의 과거와 현재
ⅲ.메디슨
1) 회사개요
2) 메디슨의 실패요인 분석
3) 메디슨의 재도약 전략
4) 삼성에의 인수 이후 메디슨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1.미국 철학자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
사회의 기본적 가치, 즉 자유와 기회, 소득과 부, 인간적 존엄성 등은 평등하게 배분되어야 하며, 이러한 가치의 불평등한 배분은 그것이 사회의 최소 수혜자에게 유리한 경우에만 정당하다는 롤스(John Rawls)의 가치론을 말한다. 롤스는 이러한 사회 정의의 기본 원리로 ‘기본적 자유 평등의 원리(정의의 제1원리)’와 ‘차등 조정의 원리(정의의 제2원리)’ 두 가지를 제시한다. 롤스는 또한 특정한 정책의 선택이 자신에게 유리할지 불리할지를 모르는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에 가려져 있는 상태, 즉 원초상태(original position)에서 합의되는 일련의 법칙이 곧 사회 정의의 원칙으로 사회협동체를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제레미 벤담 (J. Bentham)의 공리주의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추구를 지지하는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학파를 말한다. 궁극적으로는 에피큐러스(Epicurus, 기원전 약341-270년)의 쾌락적 개인주의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홉스(T. Hobbes, 1588-1679), 흄(D. Hume, 1711-1776), 헬베티우스(Helvetius, 1715-1771), 프리스틸리(Priestley, 1733-1804)등이 발전시켰지만, 벤담(J. Bentham, 1748-1832)에 의해서 완전한 이론이 완성되었다. 벤담에서의 공리주의는 자연적이고 과학적 윤리학을 나타내는 것이고, 주관적 판단의 객관화과 정성적 판단의 정량화를 내림으로서 행복한 계산을 이룰 수 있고, 여기서 선악은 행복을 만들기 위한 경향에 의해서 측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과학주의]. 공리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학습의 관념연합론자적 이론들(觀念聯合論者的理論-, associationist theories)과 감각론적 심리학(感覺論的心理學, sensationlist psychology)을 지지했고, 과정을 통한 인간의 완성을 선전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