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공중 보건학 완벽 요점정리
- 최초 등록일
- 2011.11.24
- 최종 저작일
- 2011.11
- 3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공중보건학 완벽 요점정리 자료입니다.
이거 하나 보시면 어떠한 시험 완벽 준비 가능합니다^^
목차
Chapter 1. 공중 보건
Chapter 2. 역학 및 질병 관리
Chapter 3. 전염병
Chapter 4. 기생충 질환 관리
Chapter 5. 환경 위생
Chapter 6. 환경 오염
Chapter 7. 식품 위생
Chapter 8. 산업 보건
Chapter 9. 보건 행정 및 사회 보장
Chapter 10. 인구․가족계획 및 모자 보건
Chapter 11. 성인병 및 노인 보건
Chapter 12. 정신 보건
Chapter 13. 보건 영양
Chapter 14. 사고와 응급 처치
Chapter 15. 보건 교육 및 학교 보건
Chapter 16. 보건 통계
본문내용
① Winslow -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예방, 수명연장, 건강증진(신체적?정신적 효율 증진) 시키는 과학이며 예술
② 공중보건의 최소 단위 - 지역사회
③ 공중보건의 대상 - 지역사회주민(인간집단)
④ 공중보건학과 유사한 의미 - 예방의학, 사회의학, 지역사회의학, 지역사회 보건학, 건설의학, 공중위생학
⑤ 공중보건 사업의 3대 요소 - 보건행정, 보건교육, 보건관계법규 ☞사업수행 방법상 보건교육이 가장 중요
⑥ 공중 보건 사업의 3대 접근 방법 : 봉사, 통제, 교육
⑦ 지역사회 공중보건사업 실시계획 중 가장 먼저 조사되어야 할 사항은 보건통계자료
⑧ 공중 보건학의 발달 : 고대기 → 중세기 → 여명기(요람기) → 확립기 → 발전기
☞ Chadwick : Fever Report - 최초의 공중보건법 탄생계기
Shattuck : Massachusetts주 위생위원회보고서 - 보건국 설치
세계 최초의 공중보건법 제정(844, 영국)
세계 최초의 보건부(99,영국) → 보건행정의 기틀
John snow - 근대역학의 시조, 콜레라에 관한 역학조사 발표(855)
Bismark - 근로자 질병보호법(883) 제정, 사회보장제도의 기틀 마련
WHO발족(948)
국제 인간 환경 회의(972년, 스웨덴) - 오직 하나뿐인 지구
lma-ta 회의(978) - 일차보건의료 실천 결의
⑨ 공중 보건학의 기본과제 - 3P : Population(인구), Pollution(오염), Poverty(빈곤)
3M : Malnutrition(영양실조), Morbidity(질병), Mortality(사망률)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