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비화][퇴비][퇴비화 목적][퇴비화 특성][퇴비화 과정][퇴비화 조건][퇴비화 기술][퇴비화 숙성도]퇴비화의 개념, 퇴비화의 목적, 퇴비화의 특성, 퇴비화의 과정, 퇴비화의 조건, 퇴비화의 기술, 퇴비화의 숙성도
- 최초 등록일
- 2011.10.15
- 최종 저작일
- 2011.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퇴비화의 개념, 퇴비화의 목적, 퇴비화의 특성, 퇴비화의 과정, 퇴비화의 조건, 퇴비화의 기술, 퇴비화의 숙성도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퇴비화의 개념
Ⅲ. 퇴비화의 목적
Ⅳ. 퇴비화의 특성
Ⅴ. 퇴비화의 과정
Ⅵ. 퇴비화의 조건
Ⅶ. 퇴비화의 기술
1. 호기성 퇴비화
2. 혐기성 소화
3. 하수병합
4. 지렁이 퇴비화
Ⅷ. 퇴비화의 숙성도
1. 물리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2. 화학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1) C/N비
2) E4/E6
3)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4) 무기질소(NH3+, NO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촉진하고 퇴비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폐기물 관련정책과 비료관련 정책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정책은 각 관할 기관별로 각각의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즉, 환경부는 폐기물 처리(매립, 소각) 차원에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추진하거나 하수오니, 산업폐수 등의 농업적 이용을 방관하고 있다. 농림부 축산국은 가축분뇨 처리 차원에서 퇴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반면에, 농산국은 폐기물 처리 차원이 아니고 농가에 양질의 퇴비를 공급하기 위하여 퇴비공장 설치를 지원하고 있다. 이렇게 각 기관의 퇴비화 목적은 상이하나 생산된 퇴비의 용도는 똑같이 토양에 투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에는 사용 농민의 입장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나 관할 부처간 또는 부서 간 협조체계가 확립되지 않아 폐기물 재활용 면에서나 유기질 자원 확보 측면에서 모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질의 유기질 자원은 적극 발굴하고 불량 자재의 농경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부처간 전문가 협의체 구성이 시급히 요구된다.
일부 비료 제조업체와 폐기물 처리업체는 두 가지 업을 겸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업체는 단일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참고 자료
○ 김정근(2004),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시 하수 슬러지의 최적 혼합 비율에 관한 연구, 상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기주, 호기성 퇴비화 공정을 중심으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숙성퇴비의 적정성
○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 정대연(2002), 환경사회학, 아카넷
○ 폐기물 유기성 물질 자원화기술(2008)
○ M.J.Mitchell, S.G.Hornor·B.I.Abrams(1980), Decomposition of Sewage Sludge in Drying Beds and Potential Role of the Earthworm, Eisenia foeida, J.Environ, Qual., Vol. 9, No.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