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축][현대건축 의미][현대건축 특색][현대건축 시기적 구분][현대건축 흐름][현대건축 건축언어]현대건축의 의미, 현대건축의 특색, 현대건축의 시기적 구분, 현대건축의 흐름, 현대건축의 건축언어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1.09.30
- 최종 저작일
- 2011.09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현대건축의 의미, 현대건축의 특색, 현대건축의 시기적 구분, 현대건축의 흐름, 현대건축의 건축언어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현대건축의 의미
Ⅲ. 현대건축의 특색
Ⅳ. 현대건축의 시기적 구분
1. 신합리주의
2. 포스트 모더니즘
3. 비판적 지역주의
4. 해체주의
5. 생산주의 하이테크
Ⅴ. 현대건축의 흐름
1. 데 스틸(De Stijl)
2. 아방가르드(Avant-Garde)
Ⅵ. 현대건축의 건축언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근대건축에 대한 불만과 비판이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미국에서 관련 저술의 발간을 배경으로 일어났다. J. 제이콥스는 〈위대한 미국 도시의 죽음과 삶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1961)에서 근대건축의 이상향에 의한 도시의 파괴를 지적했으며, R. 벤투어리는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1966)에서 근대건축이 상실한 건축의 상징성과 의미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우며, 이는 근대건축이 너무 단순하고 순수한 것만을 추구하며 디자인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간성을 지닌 건축을 만들 것과 상업건축도 건축의 영역으로 끌어들일 것을 주장하며, 건축에 역사적인 양식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야마사키가 설계한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프루트 이고우 아파트의 폭파 철거(1972)는 근대건축의 종말을 알리고 탈근대건축이 대두하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참고 자료
․ 김진성(1997), 20세기 추상예술이 현대건축의 형태표현에 미친 영향에 관한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소희(1996), 현대건축에 나타난 투명성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론
․ 김성호, 현대건축 사고론, 미건사
․ 이정욱, 현대건축에서 미니멀리즘의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집문사편집부(1978), 세계현대건축사진시리즈 04 - 박물관 미술관+도서관+연구소, 집문사
․ M. Lampugnani 저, 지연순·유재희(1997), 현대건축론, 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