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행정학과 2학년 행정통제론 공통 방통대 2학기 중간과제 참고자료]
-`공직부패의 폐해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시오.`를 논제로 해서 작성된 자료입니다.
- 서론, 본론, 결론에 맞춰 작성했습니다.
- 여러가지 자료를 참고해 작성하였으며, 참고문헌을 명시하였습니다.
- 주제와 관련없는 내용으로 채워진 자료를 유의하세요.
- 자세한 내용은 목차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부정부패의 정의
2. 부정부패 정의의 한계
3. 공직부패의 원인
4. 공직부패의 폐해
5. 부정부패의 유형
1) 부정부패의 주체에 따른 유형
2) 부패의 구조화, 제도화 정도에 따른 유형
3) 부패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관용도에 따른 유형
6. 부정부패 실태 및 사례
7. 공직부패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1) 법적, 제도적 정비
2) 부정부패 방지법과 효율적 운영
3) 내부 비리 제보자의 보호
4) 정보공개법 및 행정절차법
5) 공직자 재산등록 및 공개범위 확대
6) 불법수익의 환수
7) 공직 환경 개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직부패의 폐해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시오
Ⅰ. 서론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고질적 사회병리현상의 하나인 부정부패는 선진사회든 후진사회든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어느 사회에서나 관찰되는 보편적인 사회현상중 하나이다. 우리나라 역시 부정과 부패가 뿌리 깊이 자리하고 있는데, 특히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는 심각한 수준에 있다. 부정부패는 일반 국민을 포함한 정치인, 기업인, 공직자 등 모든 사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그 핵심은 공직자라고 할 수 있다. 즉, 공직자는 그에 의하여 정책이 결정되고 집행이 이루어지는 등 국가의 핵심주체이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에서 공직부패 척결을 중요한 개혁과제로 다루었으나 번번이 실패하고 말았다. 이명박 정부 역시 ‘공정사회’를 기조로 부패척결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각종 비리와 부정에 관한 뉴스가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것을 보면 오히려 공직부패의 정도가 심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걱정이 들기까지 한다. 공직부패는 국가발전에 커다란 장애요소로서 우리사회의 가장 심각한 병폐 중 하나이다. 지금 고치지 못하면 점점 곪아 손댈 수 없는 ‘망국병’으로 번질지도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공직부패에 대한 사회적 감시와 해결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본보고서를 통해, 공직부패의 폐해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해보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1. 홍윤표, 공무원의 행정부패에 대한 인식, 서울대 행정대학원, 2011.
2. 여운식, 공직자 부정부패 방지에 관한 연구,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2010.
3. 한상규, 공직사회 부정부패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방안, 원광대 대학원, 2009.
4. 우희경, 국가공무원 부패실태 및 부패 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법무대학원, 2009.
5. 이상범, 공무원 부패방지 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연구, 경상대 대학원, 2008.
6. 김명재, 사회정의와 사회발전, 전남대학교출판부, 2001.
7. 임윤주, 행정부패의 효율적인 통제방안 연구, 한양대 행정대학원, 2006.
8. 성영주, 한국 공직사회의 윤리적 실태와 그 제고 방안,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