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평가 절상 논란
- 최초 등록일
- 2011.08.09
- 최종 저작일
- 2011.08
- 1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4,000원

판매자sgcom**** (본인인증회원)

소개글
위안화 평가 절상 논란
목차
기축통화로 위안화가 부상하게 된 배경
행보
환율과 절상의 개념 중국의 환율정책동향 중VS미 입장
위안화 절상 후 모습 우리나라가 받는 영향과 대응방안
향후 전망
결론
본문내용
중국은 2007년 기준
한국의 수출 중 22.07%, 일본수출의15.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경우 수출의 12.56%와 수입의 13.21%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서 역내 무역 시
위안화를 결제화폐로 사용할 경우
용을 절약 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음.
국가
위안화 사용 증대 내용
ASEAN
2004.11.FTA발효
2008.10.싱가포르와 FTA체결
ASEAN회원국과 통화스와프 계약 증가 중
홍콩
2003.경제긴밀화협정(CEFA)체결
2007.6. 홍콩내 위안화표시 채권발행 허용
홍콩과 심천의 기업간 거래시 20~30만 달러 범위내에서 위안화 결제와 개인간 송금 허용 등 금융협력 강화 추진 중
대만
2008.11.4. 대만방문 회담에서 양국간 무역결제통화를 달러화 대신 양국 통화로의 대체와
중국 기관투자자의 대만증시 투자허용 등 금융분야의 합의 도출
아
2008.10.제3회 중.러 경제고위포럼에서 양국간 무역거래에서 달러화에 대한 비중을 줄이고 위안화와 루블화의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합의
북한
2008.2 양국간 무역업에 종사하는 북한 기업에 대해 중국 내 위안화 결제계좌 계설을 허용하는 등 위안화의 결제제도를 공식적으로 도입
“새로운 기축통화”이슈가 G20 금융정상회의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
중국이 급부상함과 동시에 미국 금융체계에 의심이 생기면서
위안화가 차세대 기축 통화로 각광
아시아의 주요 국가들과 통화 스와프 체결
중국은 달러를 대체하는 새로운 ‘슈퍼통화’로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사용 확대를 주장
중국 주장에 러시아, 인도, 브라질 등도 동조하고 있는 데다 호주도 IMF내에서 중국의 역할 확대론을 제기하며 보조를 맞추는 형국이어서 귀추가 주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