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범죄의 실태 및 대응방안
- 최초 등록일
- 2011.06.23
- 최종 저작일
- 2010.06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스토킹범죄의 실태 및 대응방안
목차
Ⅰ. 서 론
Ⅱ. 스토킹의 이론적 논의
Ⅲ. 스토킹의 실태
Ⅳ. 스토킹 행위에 대한 법적 고찰
Ⅴ. 스토킹에 대한 대응방안
Ⅵ. 맺는 말
본문내용
Ⅰ. 서 론
우리나라에서 ‘스토킹’은 언론매체를 통해 알려진 연예인들 중 몇몇의 인기연예인의 피해사례가 보도되기 시작한 몇 년 까지지만 하더라고 매우 생소한 용어였다. 또한, 인기연예인들이 겪는 단순한 부러움에 대한 표시라고 생각해 오던 것이 이제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빈번히 이야기 할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고, 일반 생활에 깊숙이 내제되어 있는 범죄가 되었다. 이러한 사정은 범죄선진국인 미국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1980년대 말과 1990년대 초에 걸쳐 데이비드 레터맨, 조디 포스터, 마돈나 등 유명 인사들의 피해사례가 대중매체와 여론 주도층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뒤부터 비로소 그러한 행태가 스토킹이라고 불리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스토킹은 대중매체의 단골 주제의 하나가 되었다. 최근에 인기 연예인들에 대한 스토킹 범죄가 발생하여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음으로써 스토킹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스토킹 피해자의 약 80% 정도가 여성이라는 점은 스토킹이 남성 중심적 사회가 만들어 놓은 그릇된 애정관으로 인해 여성이 받아온 피해 사례라고도 볼 수 있다고 시사한다. 그래서 여성 운동계를 중심으로 스토킹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함으로써 스토킹이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는 것이다.
스토킹 행위자로 인한 피해는 살인, 상해가 아니며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신적인 피해가 대부분이다. 스토킹의 행위로는 전화 걸기, 따라다니기, 편지보내기, 길 막기 등 사소한 일반적인 생활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많이 때문에 일반인들이 인식하기에 범죄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스토킹 행위는 형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범죄들이 복합적으로 내제된 범죄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는 분명 범죄이며,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된다. 또한, 스토킹을 겪으면서 피해자가 겪는 고통을 살펴보면, 신체적인 상해뿐만 아니라 지나친 경계심, 대인공포, 전화 공포, 외출 공포, 사회생활 기피 등 심각한 정신적 ․ 신체적 후유증을 보인다.
참고 자료
$ 김은경. 2003. “스토킹 피해실태와 그 쟁점들”. 「형사정책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박철현 $ 이상용 $ 진수명. 2000. “스토킹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이건호. 2004. “스토킹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대응과 그 한계”. 「형사정책」. 한국형사정책학회.
$ 이건호 $ 김은경 $ 황지태. 2002. “스토킹 피해실태와 입법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이기헌 2002. “스토킹의형법적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비교형사법연구」. 한국비교형사법학회.
$ 이시형 $ 이세용 $ 김형주 $ 신영철 $ 이소희. 1998. 「현대사회와 스토킹」. 여성특별위원회 의견서
$ 이은경. 2001. 「가정폭력범죄의 형사절차상 위기개입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