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사의 인식변천
- 최초 등록일
- 2011.05.21
- 최종 저작일
- 2010.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200원

판매자agape*******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소개글
고조선사 인식의 변천과정과 일본의 식민사관 이론 , 우리나라 학자들의 이론등 여러자료를 모아 정리해놨습니다.
목차
1. 국가의 형성
본문내용
1. 국가의 형성
*고조선의 등장
-발전 과정
예,맥,한족 사회의 청동문화 진전, 농업 생산력 증가와 정착으로 집단 채집경제에서 소단위 생산 경제활동가능
→ 한 씨족 내 친족집단이 생산과 소비의 기본단위가 됨. →친족집단 몇 개가 모여 촌락공동체형성→촌락공공체 내 친족집단끼리의 자원 이용권 갈등, 경제적 우열 발생, 갈등→촌락 공동체 문제해결 위해 더 큰 단위의 부족 등장→ 부족 통합을 위한 지도자 등장(제의 담당한 제사장 겸임/초기 청동문화는 의기 문화 성격 강함)→ 부족 내 및 부족간 경제적 우열, 갈등으로 지배 예속 형태 나타남.→청동제 무기 사용에 따른 부족 간 우열 결정→부족 통합에 따른 조직적 인위권력기구인 국가 등장! 이 최초의 국가가 고조선이다.
-고조선의 존재 기록
문헌상 처음 언급 : 「관자」,제와 조선의 교역 간단히 언급 /관자는 춘추시대 제나라 재상 관중에 가탁한 제자백가 논문집으로써 실제 그 관련 내용은 주로 전국시대(기원전403-221)와 관련되어 서술(전국시대 이전 전승되어 온 내용토대로 전국시대인의 사상 담아 서술)/이로보아 조선의 기원은 적어도 기원전 4세기 이전으로 추정/ 관련기록 증거: 「위략」에서 (기원전311-270)대에 연 소왕과 고조선이 각축!
*고조선의 중심지 위치
관련설: 재요녕성설(북한학계 주장), 재평양설(남한학계 주장), 이동설(최근 주장, 가장 설득력 있음.)
위치 논란 지속이유 : 문헌자료 부족, 남겨진 기록도 단편, 추상, 고대지명이 고유명사보다 일반명사가 많음,각 시대에 따른 고조선 의 인식 차이
위치논란에 관한 견해를 비정할 키워드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와 연, 진, 한 대의 만리장성의 위치
문헌: 낙랑군의 위치는 요동의 양평(만리장성 동쪽=요동군 자리로써 요하 하류 유역)의 동쪽에 위치
㉠/ 즉 한반도 서북부지역에 위치 : 증거 북위 사신으로 간 고구려 신하에게 질문한 ‘역도원(지리전문가)’의 기록
“고구려 수도는 패수의 북쪽에 있으며 패수(대동강)는 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