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능과 역할
- 최초 등록일
- 2011.03.01
- 최종 저작일
- 1997.0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사회복지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능과 역할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관은 1880년대 영국과 미국의 인보관이 등장배경이 된다.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 내의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의 복지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종합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시설을 말한다. 이는 좀 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사회복지활동을 가능케 해주는 가장 대표적인 직접 서비스 기관이다.
2. 본론
(1) 사회복지관의 목표
① 저소득층의 자립능력 배양과 중산층으로의 유도
② 지역사회문제의 예방과 치료
③ 지역사회 및 주민의 연대감 조성
④ 지역사회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복지센터 역할의 수행
(2) 사회복지관의 역할
① 지역사회문제 파악의 역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해서 대상체계에 대한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문제해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먼저 해당 지역 사회문제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② 서비스센터의 역할: 상이한 대상체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적 또는 비전문적 속성을 함께 포용하고 있는 다목적인 지역복지센터이다.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의 제반 문제를 과학적이고도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분석, 평가하여 문제해결의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 자료
사회복지관의 지역사회 자원동원 능력 결정요인 분석, 황성철. 200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2호,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pp. 173-191.
지역사회복지론, 오정수, 류진석, 2004, 학지사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사회복지관의 역할, 김만두, 1992, 발표자료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관의 역할과 기능, 국립사회복지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