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02.06.23
- 최종 저작일
- 2002.06
- 27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소개글
남한산성에 대해서 자세히 조사했습니다
많이 다운받아가세여~~~*^^*
목차
Ⅰ. 머리말
Ⅱ. 산성의 위치, 지형
Ⅲ. 산성의 역사
⑴삼국시대
①신라시대
②백제시대
⑵고려시대
⑶조선시대
⑷일제강점시대
⑸해방이후
⑹도립공원시대
Ⅳ. 성과 문화
⑴동문
⑵서문
⑶남문
⑷북문
⑸성곽
⑹여장
⑺옹성
⑻돈대
⑼포루
⑽암문
⑾수구
⑿치
⒀장대
①수어장대
②남장대지
③동장대지
④북장대지
⑤외동장대지
Ⅴ. 맺음말
Ⅵ. 참고문헌, 인터넷
본문내용
산성의 지형
성벽은 주봉인 청량산(497.9m)을 중심으로 하여 북쪽으로 연주봉(467.6m), 동쪽으로 망월봉(502m)과 벌봉(515m), 남쪽으로 몇 개의 봉우리를 연결하여 쌓았다.
성벽의 외부는 급경사를 이루는데 비해 성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고 평균고도 350m 내외의 넓은 구릉성 분지를 이루고 있다. 사시사철 물이 마르지 않는 천혜의 전략적 요충지이다.
광주군의 지질은 회색화강암과 편마암지대 이며, 지형은 광주산맥의 영향권 안에 있다. 토양은 편마암계나 화강암을 모암(母巖)으로 하는 사질양토(砂質壤土)나 양토(壤土)이다. 남한산성은 청량산(497m)을 중심으로 급경사로 된 화강편마암의 융기 준평원으로 내부는 약 350m의 구릉성 분지이다. 또한 산성리에서 엄미리에 이르는 지방도에 걸친 연변은 약 8km에 이르는 긴 협곡을 이루고 있다. 분지 내에는 고산지대인 관계로 하천의 발달이 미약하고, 산성천이 유일한 하천으로 침식곡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산정의 급경사면에 비해 북부 산록에는 경사가 하부로 갈수록 완만한 산록 완사면이 발달하고 있다.
참고 자료
책을 찾아 보았으나 남한산성에 관한 책이 없어서 인터넷으로 만 조사를 하였다.
http://www.namhansansung.or.kr/
http://binin.netian.com/home1.htm
http://ijanghun.com.ne.kr/
http://my.netian.com/~at1982/namhan-frame.htm
http://myhome.naver.com/namguana/
http://www.vrkg21.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