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시 교육론과 헤게모니
- 최초 등록일
- 2011.01.25
- 최종 저작일
- 2010.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헤게모니란 용어에 대한 서술, 그람시의 교육관과 교육론, 그리고 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목차
1.헤게모니
2.그람시의 헤게모니
3.그람시 교육론
4.시사점
본문내용
1. 헤게모니
헤게모니란 개념은 가장 통상적인 의미에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사전적인 의미는 한 나라의 연맹제국에 대한 지배권, 맹주권, 패권(覇權)을 말한다. 오늘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가리킨다. 20세기가 시작된 이래 특히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의 활동과 관련하여 이 용어는 정치적 지배라는 함의(含意)를 지니게 되었다.
대부분의 이론가와 비평가들은 헤게모니라는 말을 무심코 또는 정확한 의미 규명 없이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적·포스트구조주의적 비평에서 볼 때 이 용어는 상당히 복합적이고 전문화된 의미를 지닌다. 헤게모니의 이론적 개념이 정립된 것은 이탈리아공산당의 창설자인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의 작업을 통해서이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결정론적 해석과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관념철학에 반대하여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통일을 주장하면서 헤게모니를 설명하였다.
그람시에 의하면 국가든 사회든 어떤 실체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지배계급의 집행력 뿐 아니라 피지배계급을 승복시키고 또 그들도 기꺼이 따르는 일종의 도덕적 동의가 필요하며, 이것을 `헤게모니`라고 했다. 헤게모니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자원은 동의, 혹은 합의인 것이다.
참고 자료
열린글- 그람시의 마르크스 주의와 헤게모니론』 권유철
『논문집』-37편 그람시의 교육론 오성철
『국가, 계급, 헤게모니』 임영일 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