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사례 그리고 비즈니스모델분석
- 최초 등록일
- 2010.12.07
- 최종 저작일
- 2010.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그에 관련된 사례를 들었고,
그 사례에 대한 내용과 비즈니스모델을 인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목차
∎ 목 차
Ⅰ. 서론
가. 연구목적
나. 선정동기
Ⅱ. 본론
가. 사회적기업의 개념
1) 사회적 기업의 개념
2) 사회적 기업의 특징
3) 사회적기업의 역할
나. ‘막퍼주는 반찬가게’ 기업소개
다. ‘막퍼주는 반찬가게’ 활동
1) 막퍼주기 위해 돈 버는 회사
2) 로컬푸드와 지산지소운동
3) 일자리창출과 무료반찬 나누기
4) 주민자치활동의 기반
5) 무에서 유를 만드는 사람들
6) 파트너십과 행정기관과 역할
라. ‘막퍼주는 반찬가게’의 Business Model 구조
1) 커뮤니티 비즈니스 개념
2) 커뮤니티 비즈니스 특성
3) ‘막퍼주는 반찬가게’ Business Model
마. ‘막퍼주는 반찬가게’의 Business Model 분석
바. ‘막퍼주는 반찬가게’ 개선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가. 연구목적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사람들은 각기 다른 needs와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에서는 모든 사람들을 Care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시민들이 단체를 조직해서, 혹은 지역공동체에서 정부가 Care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 해결점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해서 해왔다. 하지만 이전의 방법과는 달리 요즘 시민사회운동의 주체들은 기존NGO의 관성을 넘어서는 일정한 의식의 전환과 노력을 하고 있다. 복지나 분배 영역뿐만 아니라 생산과 성장 영역에도 관심을 갖고 기여하여야 하며 서면 활동(Activity) 외 측면뿐만 아니라 시민 사업(Business)의 측면도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식이 함께 하고 있다. 즉,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같이 시민들 스스로가 공공재를 창출하는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지역경제의 활력을 만들어가는 협동경제의 주체로서 자리 잡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관성을 넘어선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시도는 국가, 시장, 시민사회의 고유한 벽을 넘어서 섹터들 간의 혼합 영영. 즉, ‘가치융합’에서 만들어 지고 있다.
이렇듯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공공의 이익이라는 기존의 목적에 더하여 자생성이라는 측면까지 더한 사회적 기업의 소개와 기업의 Business Model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서의 방향에 대해서 연구하여 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 http://www.socialenterprise.go.kr/index.jsp
- 사회적기업과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사업의 연계방안 / 이영범 ; 남승연 [공저] ; 한국사 회서비스관리원 [편]
-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예비)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사업 시행지침 / 노동부
- 한국형 사회적기업 발전방안 연구 : 선진국과 한국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김인태
- 풀뿌리 시민활동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기업에 관한 연구 / 박홍순 <<커뮤니티비즈니스 모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8평생교육백서』
- 노동부, 2009, 『사회적 기업 개요집』, 노동부&사회적 기업연구원 발간
- 노한균, 2009, “지역경제발전과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 연구포험 및 비영리학회 공동학 술대화, 부산.
- 이광우, 2009,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업연구포럼 및 비영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부산
- 고용 창출 모델로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정책을 위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강명희
-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채호근
- 행복마을 활성화 전략연구 / 송병화 ; 최훈 ; 이승현 [공저] ; 전남발전연구원 인적자원개 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