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있어서의 사회 간섭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최초 등록일
- 2010.11.23
- 최종 저작일
- 2009.12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 간섭을 극복하는 방안을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적은 리포트입니다.
인용은 각주로 처리하였습니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주제.
2. 연구방법.
3. 교육의 개념 및 속성.
4. 사회의 간섭.
4.1. 제도적 간섭.
4.2. 사회․문화적 간섭.
5. 영화로 본 교사의 바람직한 대처 자세.
5.1. 모나리자 스마일.
5.2. 빌리 엘리엇.
5.3. 종합적 평가.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배경 및 주제.
일제고사가 2008년 10월부터 시행되면서 최근 일제고사와 관련하여 많은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현장 학습을 하거나, 소풍을 간 학생들의 소식이 심심찮게 뉴스에서 들려오고 있고, 일제고사를 반대한 교사들이 파면․해임되면서 이것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일제고사가 쟁점화 되는 것은 일제고사 자체가 비교육적인 속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일제고사가 학생의 의지와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부과되는 시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제고사는 국가, 나아가 사회가 교육 과정에 간섭하는 것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 간섭과 그것에 바람직하게 대처하는 교사의 자세는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2.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사회가 교육에 어떠한 간섭을 하는지, 그리고 교사는 그것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의 개념과 속성에 대해서 정의를 내렸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 간섭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에의 사회 간섭을 다룬 두 영화를 토대로 사회 간섭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교사의 상을 알아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3. 교육의 개념 및 속성.
이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교육의 개념 및 속성을 정의하였다. 왜냐하면, 교육의 개념은 시대나 학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그 내용도 상이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는 교육의 개념을 정의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용환에 따르면 교육은 더 나은 인간을 지향하는 변증법적 과정이다. 즉, 교육이란 보다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스스로를 계발하기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긴밀한 상호작용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용환이 정의한 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교육의 속성을 몇 가지 밝혀보았다. 이 연구에서 정의내린 교육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참고 자료
조용환,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교육과학사, 2004.
존 테일러 개토, 『바보 만들기』, 김기협 역, 민들레, 2005.
마이크 뉴웰(2004), 『모나리자 스마일』.
스티븐 달드리(2001), 『빌리 엘리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