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이해 및 최근동향과 사례분석
- 최초 등록일
- 2010.09.10
- 최종 저작일
- 2010.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M&A 에 관한 모든 것을 소개하였습니다. 더불어
현대에 들어 기업간의 m&a 성향 분석과 동향을 담았습니다.
목차
1.M&A의 이해
(1) M&A의 개념 정의
(2) M&A의 의의
(3) M&A의 유형과 분류
(4) M&A의 장단점
(5) M&A의 효과
2. M&A의 최근동향과 사례분석
(1) M&A의 흐름
(2) 세계의 M&A의 발전과정
(3) M&A 시장의 최근동향(국․내외)
(4) M&A의 최근 사례를 통한 분석 (신문기사 첨부)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M&A의 이해
(1) M&A의 개념정의
인수∙합병(Mergers & Acquisitions: M&A)이란 용어는 학문적으로 정의된 용어는 아니다. 즉, 실무 차원 에서 형성된 용어로서 ‘인수∙합병(引受合倂)’, ’매수∙합병(買收合倂)’, ‘기업인수(企業引受)’, ‘합병매수(合倂 買受)’, ‘기업매취(企業買取)’ 등으로 다양하게 쓰이면서 그 업무의 영역에서도 뚜렷하게 정의된 바가 없다. 그런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M&A는 다른 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협의의 의미로만 사용 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다루는 M&A란 기업의 특정 부문이나 자회사의 매각처분(Divestitures), 기업 간의 자본 제휴에 의한 합작투자(Joint venture), 혹은 사기업화 등 좀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M&A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광의의 M&A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예를 들어 기업 분할이나 매각처분 등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 인수 측에서 보면 협의의 M&A를 행하는 것이며, 반면 매각 측은 기업구조조정 (Corporate Restructuring)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M&A는 단순히 경영권을 가진 지배주주의 변경, 즉 기업지배권의 변경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기존 기업의 경영지배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련의 행위를 포괄하여 파악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2) M&A의 의의
1) M&A의 목적
① 마케팅 활동과 생산 활동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안정적 수요처 및 원재료 공급처 확보를 위한 수직적 결합
② 규모의 경제, 시장점유율 확대 등 외형확대를 목적으로 한 수평적 결합
③ 기술수준, 법규상의 제한요소 등과 관련하여 인수합병 후 예상되는 총체적 가치상승을 겨냥한 시너지효과 기대
④ 절세를 위해 일시적 손실확대기업과의 합병
⑤ 기계장비 등 필요자산의 구입 혹은 임차와 관련하여 필요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인수가 중장기적 으로 더 경제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등을 꼽을 수 있다.
2) M&A의 주된 동기
① 경영전략적 동기
- 조직 성장의 지속적 유지: 기업 내부 자원의 활용에 의한 성장에는 한계가 있어-기업 외부 자원(타기업과의 결합)을 활용하여 성장
- 국제화를 위한 경영 전략
- 연구 개발의 효율성 제공: 연구 개발상 요구되는 막대한 시간과 자금을 보완-기술개발 능력이 있는 기업이나 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업을 인수 합병
- 저평가 기업의 이용 : 외부 기업 중 경영자의 능력 부족, 조직의 비능률성, 증권시장의 비효율성으로 저평가된 기업 존재 → 기업 인수 합병을 통한 경영 활성화로 저평가된 부분만큼의 이익 획득
② 영업적 동기
- 시장 참여 시간 단축 : 기술 개발 속도가 빨라지면서 산업의 Life Cycle이 짧아짐- 신규 투자에 의한 시장 참여보다 기업 매수에 의한 시장 참여가 경제적
- 신규 시장 참여시의 마찰 회피 : 기존 기업의 인수를 통해 기존 참가자와의 마찰을 경감(합작투자의 전형적 동기)
- 규모의 경제효과 : 동종기업간의 합병-생산규모 대형화-비용 감소
- 시장 지배력 증대 : 기업규모의 대형화, 자원 이용의 집중도가
참고 자료
1) 21C 최신 M &A 이론과 실제 및 전략(김동환, 김종천, 김안생 공저)
2) 문영원, 『M&A의 이론과 실체』, 상지문화사, 1990.
3) 박기안, 김찬경 공저 / 국제경영론 무역경영사 2001
4) 김신 / 국제경영학 / 박영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