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심근경색증
- 최초 등록일
- 2010.08.04
- 최종 저작일
- 2010.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협심증, 심근경색증 정의및 간호관리
목차
* 협심증
1.원인 및 병태생리
2. 증상
3. 진단
4.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 심근경색증
1. 원인 및 병태생리
2. 간호 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 협심증
1.원인 및 병태생리
협심증(angina pectoris)이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상태가 오며 이때 심한 흉통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의 국소빈혈과 협심통을 유발 시키는 요인과 병리적 기전>
1)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
- 혈관요인 : 죽상경화증, 관상동맥 협착증, 관상동맥염, 관상동맥의 자가면역 질환
- 순환요인 : 저혈압, 대동맥 판막협착증,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 혈액요인 : 빈혈, 저산소혈증, 다혈구혈증
2.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
: 운동, 정서, 과음, 과식 등의 생리적 요인과 빈혈,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같은 병리적 요인들 은 심장에 과부담을 초래한다.
3. 심근의 산소 요구량의 증가
: 손상된 심근, 비대된 심근, 대동맥판막 협착증, 갑상선 기능항진증, 격한 감정과 힘든
운동
2. 증상
1) 통증의 양상 : 예고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발작성 흉통. 대상자는 흉부에 조여드는 듯한 막연한 흉통을 호소하는가 하면 가슴이 눌리는 것 같은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는 쥐어짜는 듯한 통증, 질식감,목을 죄는 듯한, 터질 것 같은, 심한 분쇄성의 통증을 호소.
2) 통증의 부위 : 대부분의 경우 흉통은 흉골 중앙하부에서 좌측 견갑골과 좌측발로 방사되며 왼팔의 내측하방을 따라서 팔꿈치와 손목 4,5번째 손가락으로 뻗친다. 때로는 우측 어깨와 목, 턱, 상복부 부위로 방사되기도 하며 흉부에는 통증이 없고, 팔, 목, 턱에 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3) 지속시간 : 전형적인 협심통은 1~5분 내의 짧은 기간에 이루어진다.
4) 악화요인 : 협심통은 심한 운동후, 식사후, 추운날씨나 습한 기후에 노출될 때, 정서적인 흥분, 심한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 유발된다. (이른아침에 흉통이 잘 발생)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I / 수문사 / 이향련 외 / 2008 / P720~732
-성인간호학3판 상-2 / 현문사 / 전시자 외 / P119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