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NAFTA 출범과 한국의 무역정책에 관한 연구
목차
없음
본문내용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세계경제의 블록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중남미뿐만 아니라 미주대륙 전체 차원에서도 역내 경제블록 형성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1990년대 초 EU의 통합과 아시아 신흥공업국의 부상 등 세계경제는 다자주의와 범세계주의 대신에 쌍무적이고 지역주의를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견지에서 위기의식을 느낀 미국은 미국의 주도 하에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국이 상호보완적인 경제구조를 이용하여 인구4억5백만 명, GDP규모 10억4천5백억 달러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출범시켰다.
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은 역내3국이 산업고도화를 통한 경쟁력향상으로 역외국에 대하여 공동 대응한다는 경제적인 의도로 미국은 캐나다와의 기존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멕시코에는 상품시장의 개방을 더욱 촉진시킨다고 하는 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인한 북미시장의 통합은 한국의 대NAFTA지역으로의 수출을 어렵게 할 것으로 전망하는데 특히 북미자유무역협정국가 중 우리나라와 공업발전 정도가 유사하고 미국을 주된 수출시장으로 하고 있는 멕시코가 이 협정에 참여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북미시장에 대한 상대적인 수출 감소가 예상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AFTA출범이후 한국의 미국시장에 대한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수출이 직면하게 되는 제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집 가능한 자료와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미국통상정책의 전반적인 추세분석과 중장기적인 정책방향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NAFTA의 출범과 연관지어 논의를 전개시켜 나갔으며,
참고 자료
김남두, “미국 통상정책의 중장기 방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0.
김동엽 외, “NAFATA의 동아시아 확장에 관한 연구", 대한상공회의소, 1995.
김민전, “미 민주․고와 양당의 통상정책변화와 그 원인 연구”,한국정치학보, 1995.
김박수, “유럽․동아시아 경제관계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국제세미나”,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1998.
박종수, “국제통상관계론”, 두남, 1995.
송상훈, “자동차산업”, 동원경제연구소, 2000.
오근엽 외, “국제통상론”, 법문사, 1996.
이경희 외, “미주자유무역지대의 출범 전망과 우리의 대응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 원, 2001.
정진우, “르노의 삼성차 인수의 의미와 영향”, 현대경제연구원, 2000.
한홍렬, "NAFTA 원산지규정의 의의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