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석영에 대한 작가연구(작가론)
- 최초 등록일
- 2010.06.01
- 최종 저작일
- 2009.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실제 수업시간에 제출했던 과제입니다,. 많은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형성기
2) 리얼리즘의 시작
3) 문학과 변혁운동에서 통일의 꿈
4) 광주항쟁과 방북
5) 돌아온 황석영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황석영은 1943에 만주 신경에서 태어나서, 1945년 해방과 동시에 평양으로 왔다가 황해도 신천군으로 옮겨온다. 월남하여 영등포에 정착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62년에 “사상계” 신인문학상에 「입석부근(立石附近)」에 입선하였다. 그 이후 황석영은 8년이라는 방황의 시간을 보낸다. 황석영은 세 군데의 학교를 다닌다가 퇴학을 당하고, 마침내 어느 공업학교의 야간부를 간신히 졸업을 하고 동국대학교의 철학과에 입학을 한다. 그 이후 1964년에 가출을 한다. 경찰서 유치장을 전전하다가 제 2한강교에서 노동을 하고 있던 장교 출신의 제대 군인을 알고 계절을 따라 전국 방방곡곡을 떠돈다. 한 떠돌이를 마나나고 그의 삶을 동경하다가 그를 따라가 남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 이후 신탄진 공사현장, 청주의 아이스케이크집, 진주의 빵공장을 전전 하다가 칠북이란 곳의 장춘사라는 절에서 불자로 수행하다가 어머니의 권유로 집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집에 정착하지 못하고 해병대에 자원 입대하여 월남에 파병된다. 제대 한 후 에도 전쟁터에서 얻은 심한 자기 혐오감에 빠져 극도로 폐쇄된 날을 보내다가 현재의 부인과의 연애편지로 정상적인 생활에 돌아오고 다시 소설을 쓰게 되었다. 이 후 197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탑」이 당선되어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 때부터 19736년까지 중편 「객지」,「한씨연대기」, 단편 「아우를 위하여」,「낙타눈깔」,「돼지꿈」,「삼포가는 길」,「섬옥수수」을 발표한다. 1974년 창작집 「객지」, 「북망, 멀고도 고적한 곳」을 간행한다. 이 해 7월부터 대한 대하 소설 「장길산」을 한국일보에 연재하기 시작하여 10년 후인 1984년에 10권으로 완간하게 된다.
참고 자료
월간 사회평론 1991년 9월호 “나는 작가의 양심으로 이 자리에 섰다”
․월간 사회평론 1991년 10월호 “임꺽정, 장길산 우리식의 리얼리즘”
․미래를 꿈꾸는 서사의 지난한 역정 -황석영론- 서영인, 문예미학회 2002.
․종교와 이념 - 황석영의 <손님>- 현길연 , 창작과 비평사 2001년
․작가적 신념과 현실 - 황석영론 , 창작과 비평사 1984.
․ 황석영 : 『객지』 황석영 중단편전집 1 , 창작과 비평사 2000.
『무기의 그늘』 상․하 , 창작과 비평사 1992.
『장길산 1권~10권』 , 창작과 비평사 1994.
『오래된 정원』상․하 , 창작과 비평사 2000.
『손님』, 창작과 비평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