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 최초 등록일
- 2002.05.09
- 최종 저작일
- 2002.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중용사상의 전개에 동원된 유가적 개념들을 제시하고 이를 설명해 보자. 중용 장구 중에서 마음에 드는 구절을 인용하고 설명해 보자.
▶유가적 개념들
▶중용장구
본문내용
1. 중용사상의 전개에 동원된 유가적 개념들을 제시하고 이를 설명해 보자. 중용 장구 중에서 마음에 드는 구절을 인용하고 설명해 보자.
▶유가적 개념들
성(誠)
하늘이 명하신 것 곧 천지의 법칙을 성(誠)이라 한다. 나의 성(性)은 우주의 본체인 성(誠)의 표현이며, 바로 또 하나의 작은 우주라는 것이다. 자사는 하늘과 사람은 합하여 하나가 된다고 보고 도덕의 근원을 하늘에 두었다. 그는 천도(天道)가 곧 인도(人道)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근본사상은 우주의 본체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본체가 되는 성(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도(道)-천하에 통용되는 도 다섯가지, 삼강오륜(三綱五倫)
성(誠)에 따르는 그대로를 도(道)라 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늘의 이치를 실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부모에게 효도하고 자식을 사랑하며 형제간의 우애가 바로 도이며, 나아가 이웃을 사랑하고 나라에 충성하며 모든 생명을 아낌이 도이다. 주자의 주석에 따르면 도는 객관적이다. 물론 객관적인 이 도가 성(性), 즉 본성과 다른 것은 아니다. 본성이 객관적으로 나타난 것이 도인 것이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바로 덕을 쌓고 덕을 편다는 말이다. 삼강오륜(곧 도)을 실천하게 하는 것은 지(知), 인(仁), 용(勇) 이 세 본성의 덕이다. 어떤 일이든 꿰뚫어 모르는 것이 없으므로 지라 하고, 어느 것이든 포용하므로 인이라 일컬으며, 추호도 사사로움이 없는 까닭에 용이라 한다.
참고 자료
감산( 山), 오진탁, 감산의 중용풀이, 서광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