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의 정리
- 최초 등록일
- 2010.05.03
- 최종 저작일
- 2010.04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moung****
12회 판매

소개글
한국무용을 종류별로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목차
1.한국무용의 뜻과 유래
2.신무용
3.의식무용
4.가면무용
5.민속무용
6.궁중무용
7.출처
본문내용
1.한국무용이란?
우리의 전통무용은 오래전에 다른 나라로부터 예술성과 아름다움을 인정 받았다.
예로 3000년전 주 나라에서는 천하를 다스리려면 한국의 춤과 음악을 익혀야 한다고 나와있고 일본 서기에는 한국의 춤과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나와있다. 또한 예술사 연구가인 김철순씨는 우리 민족을 가르쳐서 "이 세상에서 가장 춤을 사랑한 민족" 이라고 피력했었다.
우리나라의 전통무용은 크게 민속무용(民俗舞踊)과 궁중무용(宮中舞踊)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민속무용은 민간 대중의 생활속에서 성장 발달된 춤인 반면에 정재는주로 궁중을 중심으로 발전 계승된 춤으로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대표적인 한 갈래이다.
정재(呈才)는 헌기(獻技), 즉 춤 뿐만 아니라 모든 재예(才藝)를 드린다는 뜻으로, 이것이 차츰 궁중무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고있다. 정재는 어디에서 유래되었는가에 따라서 당악정재(唐樂呈才)와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된다.
정재의 기원은 중궁의 송나라부터 교방악을 수용함으로써 형성된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갈 수 있다. 정재는 고려시대만 해도 향악, 혹은 당악이란 개념안에 정재를 포함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당학과 향악이라는 명칭이 조선시대에 와서 궁중에서 연행되면서 당악정재와 향 약정재라는 궁중무용의 명칭으로 분류되어졌다.
민속무용은 무굿에서 행해지는 무당춤과 사찰에서 쓰이는 범무와 같은 종교적인 춤과 일반 대중이 즐겨 추던 민간춤으로 나눌 수 있다. 농악과 강강술레, 탈춤 그리고 노동과 관계있는 못복춤, 지레옥발춤등이 민간춤에 속하며 흔히 많이 알려진 살풀이 춤과 승무, 검무같은 춤들이 민속무용에 속한다.
그 후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신무용이 생겼다. 한국에서 신무용이 시작된 것은 1921년 블라디보스토크의 조선학생음악단 일행이 한국방문 때 러시아의 고팍춤을 선보인 때부터이다. 신무용이라는 말은 1926년 일본무용가 이시이 바쿠[石井漠]가 경성공회당에서 공연을 하며 신무용이라고 말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신무용은 현대무용과 같은 외국 무용에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창작무용이라는 새로운 한국무용의 장르가 탄생된 것이다.
한국 창작무용은 전통무용의 기틀위에 현대적인 요소들이 더해지면서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는 고전성을 탈피하여 새로운 것을 모색하고 시도하려는 춤으로 한국무용의 전통무용과 상반되는 새로운 춤 형식으로 발전되어오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